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파리지옥은 파리같은 동물을 잡아먹지만 식물로 분류하고 말미잘이나 멍게로 불리는 우렁쉥이는 나무뿌리처럼 생긴 부분도 있고 바닥에 고정되어 있지만 동물로 분류됩니다.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특성에 기반을 둡니다. 식물 세포는 세포벽을 가지고 있고 주로 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 식물 세포에는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동물 세포에는 세포벽, 엽록체가 없습니다. 예로 들어준 파리지옥의 경우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지만 그 외의 질소 등의 영양소를 얻기 위해 곤충을 잡아먹는 육식성 식물로 거듭났습니다. 우렁쉥이의 경우 바닥에 붙어 사는 것이 식물의 특징과 유사해 보이지만 뿌리처럼 보이는 부분은 고정 기관이고 물속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여 영양분을 섭취해서 대사하는 동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식물 중에서도 약간의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종도 있고,

    동물 중에서도 몸을 대부분 고정하고 생활하는 종이 있습니다.

    그래서 움직임의 유무나 외형으로는 완전히 구분하기 힘듭니다.

    동물과 식물은 해당 개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동물은 동물세포, 식물은 식물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식물세포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엽록체를 가지고있고, 세포벽이라는 구조를 가집니다.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고 엽록체도 없습니다.

    그래서 동물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은 종속영양만 가능하기 때문에 한자리에 있더라도 계속 먹이를 먹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과 동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세포 구조, 영양 및 번식 방식 등이 있습니다. 여러 분류 방법이 있기 때문에 적합한 기준을 찾아서 적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세포 구조, 영양분 섭취 방식, 그리고 운동성 여부입니다.

    식물은 세포벽이 있는 진핵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광합성을 통해 무기물에서 영양분을 얻습니다. 또한 대부분 뿌리를 내려 고정된 채로 생활합니다. 반면 동물은 세포벽이 없는 진핵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무기물이 아닌 유기물을 섭취하여 영양분을 얻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운동성을 가지고 있죠.

    따라서 파리지옥은 광합성을 하고 뿌리가 있는 식물이며, 말미잘과 멍게는 유기물을 섭취하고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동물로 분류됩니다. 이처럼 세포 구조, 영양분 얻는 방식, 운동성 유무가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 됩니다.

  •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양 방식: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영양을 얻는 반면, 동물은 대부분 유기물을 섭취하여 영양을 얻습니다.

    2. 이동성: 대부분의 동물은 이동이 가능하며, 활발하게 움직이지만 식물은 고정되어 있거나 제한된 이동성을 가집니다.

    3. 세포벽: 식물은 세포벽이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지만, 동물은 세포벽이 없거나 다른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 신경계통: 동물은 발달된 신경계통을 가지고 있지만, 식물은 간단한 신경계통이나 신경계통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생식 방식: 동물은 대부분의 경우 성적 생식을 하지만, 식물은 씨앗이나 포자를 통해 생식합니다.

  • 생명체는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나뉘며, 원핵생물은 세포핵과 막성세포소기관이 없는 원핵세포로 이루어진 생명체로 세균과 고세균이 속합니다. 진핵생물은 세포핵과 막성세포소기관이 있는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생명체로 원생생물, 동물, 식물, 균류가 속합니다. 동물계는 광합성을 하지 않는 다세포 생물로 스스로 먹이를 만들지 못하며 목욕해면과 같은 해면동물에서부터 사람과 같은 척추동물 무리가 속합니다. 식물계는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들며 이끼류와 같은 선태식물에서부터 양치식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을 포함한 종자식물 무리가 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