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지급한 재난지원금카드로 결재할 때 현금 옷돈을 요구하는 것은 법을 위반하는 것 아닌가요?
코로나19바이러스로 위축된 경제활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하여 각 지자체들과 중앙정부 차원에서 국민들에게 직접 현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개인별로, 서울시는 가구별로 가구원수에 따라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지역카드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어제 뉴스에 보도된 사례와 같이, 제 집사람이 지역카드를 사용하여 전통시장의 가게에서 채소 및 식료품을 구입할 때, 가게들로부터 수수료 명목으로 추가로 현금을 요구받았다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하여 전통시장을 찾은 집사람의 마음이 불편한 듯 합니다. 정부에서 지급한 재난지원금카드로 결재할 때 현금 옷돈을 요구하는 것은 법을 위반하는 것 아닌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이성재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신용카드나 현금 카드에 대해서는 여신전문 금융업법에서 규율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카드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거래한다는 이유로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하거나 신용카드를 불리하게 대우하는 행위,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를 신용카드 회원이 부담하게 하는 경우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기는 경우에는 1년이하의 징역 도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위반 행위입니다.
아래는 구체적인 조문입니다.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여신전문 금융업법
제19조(가맹점의 준수사항) ① 신용카드가맹점은 신용카드로 거래한다는 이유로 신용카드 결제를 거절하거나 신용카드회원을 불리하게 대우하지 못한다. <개정 2010. 3. 12.>
② 신용카드가맹점은 신용카드로 거래를 할 때마다 그 신용카드를 본인이 정당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신용카드가맹점은 신용카드회원의 정보보호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ㆍ이용하여야 한다. <신설 2015. 1. 20.>
④ 신용카드가맹점은 가맹점수수료를 신용카드회원이 부담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정 2015. 1. 20.>
⑤ 신용카드가맹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결제대행업체의 경우에는 제1호ㆍ제4호 및 제5호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수납대행가맹점의 경우에는 제3호ㆍ제5호(제2조제5호의2에 따라 대행하는 행위에 한한다)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0. 3. 12., 2015. 1. 20.>
1. 물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이 없이 신용카드로 거래한 것처럼 꾸미는 행위
2. 신용카드로 실제 매출금액 이상의 거래를 하는 행위
3. 다른 신용카드가맹점의 명의(名義)를 사용하여 신용카드로 거래하는 행위
4. 신용카드가맹점의 명의를 타인에게 빌려주는 행위
5. 신용카드에 의한 거래를 대행하는 행위
⑥ 대형신용카드가맹점 및 그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이하 "특수관계인"이라 한다)는 신용카드부가통신서비스 이용을 이유로 부가통신업자에게 부당하게 보상금등을 요구하거나 받아서는 아니 된다. <신설 2015. 1. 20., 2016. 3. 29.>
⑦ 결제대행업체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개정 2015. 1. 20.>
1. 물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을 하는 자의 신용정보 및 신용카드등에 따른 거래를 대행한 내용을 신용카드업자에게 제공할 것
2. 물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을 하는 자의 상호 및 주소를 신용카드회원등이 알 수 있도록 할 것
3. 신용카드회원등이 거래 취소 또는 환불 등을 요구하는 경우 이에 따를 것
4. 그 밖에 신용카드회원등의 신용정보보호 및 건전한 신용카드거래를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전문개정 2009.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