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Youangel
Youangel

말라리아는 어떻게 걸리는 병인지요?

안녕하세요? 요즘 회사에서 말라리아 주의보 광고를 많이 하던데요 이 말라리아 바이러스는 어떻게 걸리게 되는것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라리아는 주로 아노펠레스 모기(Anopheles mosquito)에 의해 전파되는 기생충 질병입니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병원체는 플라스모디움(Plasmodium) 속에 속하는 원생생물로, 다섯 가지 주요 종이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유발합니다. 모기가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빨아 먹으면, 그 혈액 속에 있는 말라리아 기생충이 모기의 체내로 들어가게 됩니다. 모기의 체내에서 기생충은 발육 과정을 거친 후, 모기의 침샘으로 이동합니다. 이 감염된 모기가 다시 사람을 물면, 기생충이 사람의 혈류로 들어가서 말라리아 감염이 시작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말라리아는 바이러스가 아닌 원충성 질환입니다.

    말라리아 유충을 가진 모기에게 흡혈당하면 걸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말라리아는 원충이라 불리는 기생충 중 하나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와는 다릅니다. 기생충은 독특하게 정해진 생활사가 있는데, 말라리아 원인의 원충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체내에서 숙주의 양분을 뺏어먹어 생장하게 되며, 일정 수준 생장을 마친 원충은 모기에게로 옮겨가게 되는데, 이 때 모기에서는 충분히 큰 말라리아가 생식을 통해 그 수를 늘리게 되지요. 특이하게 사람의 체내에서는 생식을 하지 못하고 모기로 옮겨가서야만 생식이 가능하기에, 말라리아 원충은 사람 체내에서 생식을 위해 충분히 생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때, 말라리아 원충은 자신의 생장을 위해 사람 숙주의 피, 특히 적혈구를 양분으로 하여 적혈구를 섭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빈혈이나 발열 등 특이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말라리아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걸리는 질병입니다.

    즉, 감염된 모기의 침을 통해 걸리는 것으로 말라리아 원충이 함유된 모기의 침이 사람의 혈액 내로 들어가면 감염됩니다.

    하지만 드물게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도 감염될 수 있는데, 수혈이나 장기 이식, 바늘에 의해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 중 어머니가 감염된 경우 태아에게 전파되는 선천성 말라리아도 있습니다.

    현재 말라리아는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지만, 방치 시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입니다.

    말라리아의 원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아닌 원생동물의 일종인 말라리아 원충입니다.

    이들은 여러 숙주들에게 기생하여 살아가는 일종의 단세포 기생충입니다.

    말라리아 원충은 포자소체의 형태로 모기가 흡혈을 하는 과정 중에 모기의 타액에 섞여 사람의 혈관으로 들어갑니다.

    혈액에 들어간 포자소체는 혈관을 타고 간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간에서 분열하면서 증식합니다.

    분열후 적혈구 세포에 침입하여 증식합니다. 이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을 먹고 적혈구를 파괴하며 원충의 수가 더 증식합니다. 이들은 증식한 후 암수생식모체라는 것을 만듭니다.

    이후 다른 모기가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흡혈하면 암수생식모체가 피와함께 모기의 장으로 들어갑니다.

    이 모기가 다른사람을 흡혈하면서 위의 과정이 반복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의해 인간에게 매개되는 질병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사람 피를 흡혈할때 말라리아 원충이 혈류를 통해 사람 몸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말라리아에 감염되게 되면 10-15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복통, 두통, 설사 등을 특징으로 증상이 발현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이라는 원생 동물인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전염되는 전염병입니다.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모기가 사람의 피를 빨면서 말라리아 원충을 전염시킵니다. 말라리아 원충은 감염된 사람의 혈액 속에서 번식하고 적혈구를 파괴하여 증상을 유발합니다. 말라리아는 주로 열, 오한, 근육통,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중증인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말라리아는 원생물체인 말라리아 기생충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말라리아 기생충은 감염된 모기가 사람의 혈액 속으로 침입하여 전염됩니다. 말라리아 기생충은 감염된 모기를 통해 다른 사람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사람은 감염된 모기에 의해 말라리아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으며, 말라리아는 주로 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람은 발열, 오한, 근육통, 피로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전염병입니다.

    말라리아원충은 얼룩날개 모기류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이 얼룩날개 모기에게 물린 후 감염 증상이 나타날때 까지는 2주~ 수개월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감사합니다.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기생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걸립니다. 모기가 사람의 피를 빨 때 기생충이 몸으로 들어오고, 이후 간과 혈액에서 증식합니다. 이 과정에서 고열, 오한, 두통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 모기 퇴치와 방충망 사용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말라리아는 학질모기라는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이므로 모기한테 물리면 생기게 되는 병입니다. 보통 증상은 모기에 물린 지 10-15일 후에 나타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말라리아란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발열, 오한,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사람들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되는데, 모기가 흡혈할 때 원충이 사람의 혈류에 주입되면서 감염이 발생합니다. 감염된 사람을 다른 모기가 물게 되면 그 모기도 감염되고, 이후 감염된 모기가 또 다른 사람을 물면서 전파됩니다. 인간에서 말라리아를 유발할 수 있는 원충 중 가장 위협이 되는 종류 두 가지는 열대열 말라리아 원충과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삼일열 말라리아는 비교적 가벼운 경과를 보이지만, 열대열 말라리아는 사망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