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수요일
수요일

김치는 얼마나 많은유산균이 있나요?

우리나라에 대표음식이면서 발효음식 김치는 우리가 알고있는 유산균을 얼마나 갖고있는지 그리고 유산균이 많이 생길수있는조건이 따로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과 락토바실러스 를키(Lactobacillus reuteri) 등이 김치에 함유됩니다. 이러한 유산균은 유익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장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 대표하는 음식으로 김치를 꼽을수 있는데요 유산균이 많이 들어 있어서

    많은 분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대략 김치1그램당 1~10억 마리 정도 들어 있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다양한 유산균이 풍부하게 생성됩니다.

    대표적인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등이 있습니다.

    발효 온도는 보통 15-20°C가 가장 좋습니다. 너무 낮거나 높으면 유산균 발효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보통 2-3일 정도면 유산균이 많이 생성됩니다.

    유산균은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켜 소화를 도와줍니다. 장 건강이 좋아지면 면역력도 강화됩니다. 유산균은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일부 유산균은 비타민 K와 B군 비타민을 합성합니다.

  • 김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 발효과정에서 유익한 세균들이 생기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균들이 김치에 존재합니다.

    대장 내 세균이라고도 불리는 이 미생물들은 유익한 세균으로 소화에 도움을 주고,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발효과정에서 무산소환균이 발생하여 아미노산이 단백질 분해되고, 각종 비타민이 생성됩니다. 또한, 김치에서 나타나는 식초맛 역시 무산소환균에 의해 생성됩니다.

    김치가 오랫동안 발효될수록 유산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보통 김치는 몇 일에서 몇 주 동안 발효과정을 거칩니다.발효 시작 단계에서 소금이 사용되는데, 이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익한 세균의 발효를 촉진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소금은 유익한 세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김치가 발효되는 온도와 습도도 유산균의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적절한 온습도 조건을 유지하여 발효를 원활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김치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와 조미료도 유산균의 생성에 영향을 줍니다. 고추가루, 마늘, 생강 등의 조미료들이 유산균의 성장을 촉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