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포괄적인 의미로는 심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빈맥을 포함하나, 좁게는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을 이용한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과 방실결절 및 우회로를 이용한 방실 회귀성 빈맥을 말합니다.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PSVT라고도 합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아이에서 성인에게까지 연령과 관계없이 발생합니다. 심장이 150에서 200번까지 규칙적으로 박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빈맥의 재발을 방지하는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수술을 들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의 경우 대개 평생 항부정맥약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도관을 이용한 치료나 수술은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을 경우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완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성인의 경우 이러한 치료법을 비교적 보편적으로 이용합니다. 최근에는 소아에 대해서도 심도자를 이용한 절제술을 이용하며,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은 심도자 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심장 내에 여러 개의 전극도자를 넣어, 빈맥의 원인이 되는 부전도로(副傳導路 : accerssory pathway)나 우회로(迂回路 : bypass tract)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어, 전극도자를 통해서 고주파 전류(radiofrequency energy)를 주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그 자리에 열이 발생하게 하여 빈맥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완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이 시술에 숙달된 전문가가 있는 심장센터에서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로도 빈맥이 자주 재발하는 드문 경우에는 수술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축이 흔들려서 정확한 빈맥을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맥박 자체가 빠르고 증상이 있다면 시술을 하셔야 할 것으로 보이며 아마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과 같은 심도자 검사와 유사한 방법으로, 빈맥의 원인이 되는 부위를 고주파 전류를 통해 치료해 주는 방법으로 치료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