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12.22

삼강행실도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있는지요?

조선 세종대왕 때 백성들을 교육시키기위해 만들어서 배포하고 고을 수령으로하여금 교육하게 했다는 삼강행실도에는 어떤 내용들이 들어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는 조선 세종 16년(1434) 직제학 설순(偰循) 등이 세종의 명에 따라서 조선과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부자·부부의 삼강에 거울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실을 모아 그림과 함께 서술되어있는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의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삼강행실도>는 효자, 충신, 열녀를 다룬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효자는 모두 110명, 충신은 112명, 열녀는 94명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중 우리나라 사람은 효자 4명, 충신 6명, 열녀 6명이 포함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삼강행실도>는 세종의 뜻으로 나라에서 백성들을 가르치기 위해 펴낸 도덕 교과서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는 1434년(세종 16) 세종의 명에 따라서 백성을 교화하기 위해 집현전에서 편찬한 책입니다.

    조선과 중국에서 군신(군위신강)·부자(부위자강)·부부(부위부강)의 삼강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실 110인씩 총 330명의 행실을 관련 일화를 그림과 함께 만든 책으로 3권 3책의 인쇄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에는 삼강행실효자도, 삼강행실충시도, 삼강행실열녀도의 3부작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효성을 비롯해 역대 효자 110명을 ,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 외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 여영이 상강에서 죽다 외 94명의 열녀를 소개합니다.

    모든 사람이 알기 쉽도록 매편마다 그림을 넣어 사실의 내용을 한 눈에 알아볼수있게 하였고, 본문 끝에 원문을 시구로 요약, 정리했으며 그 가운데 몇 편에는 시구에 이어 찬을 달아놓기도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는 1434년 즉 세종16년에 집현전에서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해 만든 서적입니다 국가에서 백성을 대상으로 유교 이념을 보급할 목적으로 삼강 즉 군위 신강, 부위 자강, 부위 부강, 의당령을 모범적으로 실천한 사람들의 사례를 모아 놓은 서적입니다. 충신 효자 열녀의 사례를 각 110인씩 330명의 행실을 기록하였고 관련된 일화를 목판화로 그려 넣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와 같은 경우에는 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 효성(虞舜大孝)」을 비롯하여 역대 효자 110명을,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 龍逢諫死)」 외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여영이 상강에서 죽다( 皇英死湘)」 외 94명의 열녀를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효자 4명, 충신 6명, 열녀 6명을 싣고 있고 이들의 사례 등을 소개한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에는 유교사상을 기초로 군주와 남편 그리고 부모가 어떤 행실들을 해야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군주는 책임을 다하고 도덕적으로 통치해야하며

    남편은 가정을 지키고 번영시켜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부모는 자식은 부모에게 정성을 다하고 부모의 지시에 따라야하며 부모, 부자지간의 관계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34년 직제학 설순 등이 왕명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 부자 부부의 삼강에 모범이 될만한 총신 효자 열녀의 행실을 모아 편찬한 언행록 교훈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