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이 금리 인상을 비선호했던 이유는 뭔가요?

현재 원달러 환율이 굉장히 높습니다. 이로 인해서 수입가격이 굉장히 높은데요. 해결책으로 금리 인상이 많이 언급됐는데 한국이 금리 인상을 비선호했던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금리 인상을 비선호했다는 표현이 많이 이상한데 굳이 말씀드리자면, 기준금리인상을 고려할때 단순히 환율만 고려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무작정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수출기업의 실적 악화,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자금, 그리고 경기침체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작년부터 이창용총재가 핵심으로 보았던 요소는 첫번째가 물가 두번째가 부동산과 국내 가계부채 세번째가 국내의 내수경기였고 외환시장에 대해서는 다소 후순위로 보았습니다.

    항상 중앙은행은 물가가 핵심요소인데 물가는 점진적으로 하락하면서 금리인하 시점으로 보았지만 문제는 국내 가계부채가 부동산을 중심으로 즉 주담대가 매월 역대최고치를 가파르게 경신하고 있었고 주담대가 사실상 은행대출자산에서 86프로를 차지할정도로 이속도에 대한 우려가 크다보니 금리인하카드는 꺼내지 못한것입니다. 또 반대로 이렇게 급증한 주담대와 자영업자의 증가하는 대출 내수경기가 지속적으로 작년부터 악화가 되면서 금리인상카드는 꺼낼수는 없는 카드였고 그러다보니 오랜기간 금리동결로 시장을 대응했던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금리 인상을 꺼린 이유는 가계부채와 경기둔화우려 때문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환율은 안정되지만 내수 부담이 커집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은 점진적 인상화 미시정책 병행을 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금리인상을 꺼려한 이유는 과도한 가계부채 때문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이로인해 소비가 감소되어 경기침체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금리의 인상을 선호하지 않는 것은 경기 둔화와 고용 악화 및 내수 위축에 대한 우려가 크기 떄문입니다.

    이로 인하여 기준금리를 인상한 대신 동결하거나 낮추는 식의 통화정책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을 줄이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금리가 인상되면 경제가 크게 흔들리고 투자와 소비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 안그래도 우리나라 내수 시장이 위축되어 있는데 금리를 올려서 이를 더 압박 한다면

      체감 경기가 더욱 얼어붙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이 금리 인상을 비선호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좋아하는 나라는 단 한 곳도 없습니다.

    금리 인상을 하면 대출 금리가 오르며 모든 면에서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 금리가 인상이 되면 원화의 가치가 올라가게 되어 환율은 다소 안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어 경기가 침체될 우려가 있어 금리 인상을 하는 것을 조심스럽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또한 현재 금리가 낮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더 올리게 된다면 서민 경제에 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하면 시중에 자금 유동성이 감소하면서 화폐가치는 상승하지만 경기 위축과 고용악화, 자영업자 폐업률 상승 등 현재 경제상황과는 맞지 않습니다.

    금리 인상을 쉽사리 결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경기를 살리기 위해 더 인하를 해야할 상황이죠.

    참고 부탁드려요~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