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다른 국가 주식에 비해 유독 코스피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오르거나 내리는 것을 반복하는 것 같습니다. 유독 국내 주식만 그런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분할상장 문제, 지배구조 문제,
자사주소각 및 배당 등에 인색한 등
이에 따라서 주식시장이 저평가를 받아서
계쏙 일정한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것입니다.
코스피가 박스권에서 움직이는 이유는 여러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대외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내수 시장의 한계로 인해 성장 동력이 부족합니다.
또한, 외국인 자금 비중이 커 외국인 매수·매도에 따라 지수 변동성이 커지고, 개인 투자자의 단기적인 매매 활동도 장기 상승 모멘텀을 제한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코스피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그만큼 국내증시가 매력이 없다는 뜻입니다.
국내 증시는 외국인들에 의해 주로 움직이는데 국내증시에서 지속적인 수익을 내기보다는 오르면 팔고 내려서 매집하는 단타나 스윙 개념 방식으로 운용하기에 증시가 쭉 가지는 못하는것 같습니다.
또한 테마성 소형주식들이 너무 많기도 하고 이렇다 할 글로벌 회사가 없는것도 영향인듯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경제의 불확실성이나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한 민감성이 크기 때문이며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 패턴이 코스피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들이 특정 구간에서 매수와 매도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코스피가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