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크랩은 게가 아니라고 하던데 왜 그런가요?
킹크랩은 번역을 하면 왕게가 되는데요. 이름 그대로 게처럼 생겼는데도 게와는 다른 종이라고 들었습니다. 킹크랩이 게가 아니면 왜 그렇게 게와 비슷하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킹크랩은 게류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하지만, 외형적으로는 게와 매우 흡사합니다. 이는 수중에서 비슷한 환경에서 살아가며 적응한 결과로 생겼을 수 있습니다. 진화적으로 서로 다른 분류군에 속하지만, 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생태학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유사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킹크랩이 게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반드시 같은 종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게는 갑각류 중에서도 단미하목이라는 분류군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그런데 킹크랩은 이러한 '게 같음’을 거의 대부분 충족시키지만, 게 가문에 속하지 않는 '유사 게’입니다. 킹크랩은 단미하목이 아니라 집게하목에 속하며, 대게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오히려 소라게에 훨씬 가깝습니다.
즉, 게가 게가 된 것과, 킹크랩이 게처럼 된 것은 독립적으로 일어난 사건입니다. 그 증거 중 하나가 대게와 킹크랩의 다리 숫자로 대게는 다섯 쌍, 킹크랩은 네 쌍입니다.
이처럼 게가 아닌 계통에서 게처럼 진화하는 현상을 '게화'라 부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킹크랩은 게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실 게와는 다른 종류입니다. 킹크랩은 십각목 홑겹게살아가리과에 속하며, 게는 십각목 게과에 속합니다.
두 종류는 진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면서 서로 다른 특징을 발달시켰습니다. 킹크랩은 추운 바닷속에서 살기 위해 튼튼한 가시와 두꺼운 껍질을 가지게 되었고, 게는 다양한 환경에서 살기 위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집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킹크랩과 게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서로 다른 종류이며, 서로 다른 진화 과정을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왕게(킹크랩)은 생김새와 달리 게와 같은 게하목이 아닌 집게에 속하며, 게화(carcinisation)의 가장 주된 예시 중 하나다. 게화란 단미하목에 속하지 않은 갑각류가 게의 형태로 수렴 진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건 다리 한 쌍이 퇴화되어 8개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다리 10쌍 중 한 쌍은 작게 퇴화되어 게딱지 안에 숨어있어서 보이지 않으며 보행이 아닌 아가미 청소나 번식용도로 사용된다. 왕게의 상위 분류 역시 게와 같은 십각목이며, 한자어 그대로 '다리가 10개'라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출처 : 나무위키 - 왕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