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사출도라고 해서 부족을 지배했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나요?
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영주 같은 개념으로 사출도라는 이들이 있었던 것 같은데요.
이들은 반란을 일으키지 않고, 그 자리에 계속 머물러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여의 5부족 연맹체의 수도에서 사방으로 통하는 큰길과 그 길을 중심으로 형성된 4개의 지역으로 연맹왕국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체제이다. 부여는 각 지역의 부족들이 연합하여 구성한 연맹왕국의 형태로서 큰 부족의 족장을 짐승의 이름을 딴 마가(馬加)·우가(牛加)·구가(狗加)·저가(猪加) 등으로 불렀다. 그들은 크게는 수천 호, 적게는 수백 호 정도의 규모를 가진 부족들을 다스리는 부족장들이었다. 연맹 왕국이 성립된 이후에 중앙정부는 사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로망을 통하여 자치적인 각 부족들을 통할했다.
출처 : 한국고중세사사전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출도는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마가(馬加)·우가(牛加)·구가(狗加)·
저가(猪加) 등으로 나누어 각기 수천
호(戶)의 대부족집단을 다스리는
부족장으로 집단에 대한 통제권을
가진 사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