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일본은 어떻게 아직까지 이렇게 저 금리를 유지할 수 있는건가요?

일본은 거의 제로 금리로 싼 갑세 대출을 받아 투자를 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금리를 올리는 게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일본은 이렇게 금리가 싼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오래 동안 30년 가까이 디플레이션과 저성장 속에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유지 해왔습니다.

    이는 일본의 물가 상승률이 높지 않고 소비 또한 부진해 금리를 올릴 필요성이 크지 않았고 또한 일본의 국가 부채 비중도 높아서 금리 인상 시 재정 부담도 커지는 원인도 있었습니다.

    이에 일본은행 BOJ 또한 국채를 적극적으로 대량 매입하여 금리을 인위적으로 억제 하는 방향으로 조절해왔죠.

    하지만 최근의 경제 상황이 바뀜에 따라 일본 또한 작년 8월에 1차례 금리를 인상하였고 당 시 엔케리트레이딩이 발생하여 전 세계 위험 자산이 하락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플라자합의 이후 엔화가 크게 강세가 되고 내수부양을 하며 내수구매력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후 과열된 자산 버블과 이후 제로금리에 가까운 통화정책을 유지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30년넘게 제로금리에 가까운 금리를 유지한것은 외화채권이 아니라 엔화채권이라는 점과 그리고 이런 대규모 엔화를 풀어도 디플레이션 환경이 지속 유지가 되면서 기본적으로 유지가 될수 있던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30년 넘게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일본 경제성장이 멈춰 있습니다. 따라서 물가상승이 매우 낮은 상태가 유지 되었기 때문에 저금리 유지가 가능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일본 국민들 성향 탓도 있습니다

    • 우리나라 같았으면 바로 대출을 끌어다가 건물을 매입하여 자본시장에

      버블을 유도했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일본은 은행에 돈도 안맡기고 딱히 투자도 부채도 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 즉 저금리를 유지해도 버블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은 오히려 약간의 버블을 유도하여

      경제를 성장시키려 했습니다.

    • 그 결과 엔캐리 트레이드라는 새로운 형태의 투자 방식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본은 아직까지 저금리 유지가 가능했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본은 지난 30년을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불릴정도로 저성장을 해왔기에

    엔화를 이용해서 침체된 경기를 잡아서

    경제 활성화를 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강력하게 저금리 정책을 쓸 수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국가가 완전히 부도 상태로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