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식물 같은경우는 어떻게 산소공급을 받아서 살수 있나요?
일반 나무들 같은경우는 물에 담그면 산소 부족으로 죽는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수생으로 사는 식물들은 같은 뿌리인데도 살수 있는데 어떻게 산소 공급을
받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수생식물들 중 완전히 물속에 잠겨있는경우 물속에 녹아있는 공기를 흡수하고, 잎사귀를 수면위로 올려보내는 수생식물들은 기공을통해 직접 공기중에서 공급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수생식물들은 물속에녹아있는 산소를 흡수하면서 자라는데, 물속에 공기가충분하지않은 경우가발생할 수 있어 공기주머니와같은 기관을 만들어두어 이 상황을 대비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어류들이 물에서 용존 산소를 통해 산소를 얻는 것처럼 수생 식물들도 주로 확산을 통해 물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광합성을 통해 물 속에서 산소를 방출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생 식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물 속에서도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진화해왔습니다.
보통 수생 식물의 줄기와 뿌리에는 공기 주머니와 같은 구조인 통기 조직이 발달해 있습니다. 이 조직은 대기에서 얻은 산소를 뿌리까지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또 수생 식물 중 일부는 잎을 물 위로 내놓아 대기 중의 산소를 직접 흡수합니다. 예를 들어, 연꽃과 같은 식물들이 그러한 방식으로 산소를 얻습니다.
그리고 몇몇 수생 식물은 물 속에서도 효율적으로 기체 교환을 할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 물 속의 산소를 흡수하고 필요 없는 기체를 방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죠.
안녕하세요.
수생식물(aquatic plants)은 물 속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구조와 기작 덕분에 산소를 확보하고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뿌리식물과 달리, 수생식물은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여러 가지 진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수생식물은 물이나 공기 중에서 산소를 얻는데요, 수생식물의 뿌리와 줄기에는 통기조직이라는 스펀지 같은 조직이 발달해 있습니다. 이 조직은 식물 내부에 공기 주머니를 형성하여 산소를 저장하거나 물 위에서 뿌리로 산소를 운반하는데요, 예를 들어서 연꽃과 같은 부엽식물은 통기조직을 통해 잎에서 얻은 산소를 뿌리까지 전달합니다. 또한 수생식물의 잎은 물 속에서 산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얇고 넓은 형태를 가집니다. 일부 수생식물(특히 맹그로브 같은 식물)은 뿌리를 물 밖으로 내어 직접 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합니다. 이 뿌리는 기체 교환을 돕는 기공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물 속 산소 농도가 낮거나 혐기성 환경(산소가 없는 환경)일 경우, 수생식물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물 속 산소가 부족할 때 통기조직은 산소를 일시적으로 저장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뿌리 세포는 산소가 부족할 경우, 무산소 호흡을 통해 생존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외에도 물 속 산소가 낮은 환경에서는 대사율을 낮춰 산소 소비를 줄입니다. 일반 나무는 산소를 주로 뿌리의 흙 속 공기에서 공급받는데요, 흙이 물에 잠기면 공기층이 사라져 뿌리가 산소를 얻지 못하고 질식합니다. 반면, 수생식물은 통기조직과 물속 산소 흡수 기작 덕분에 물 속에서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수생식물은 통기조직, 물속 산소 흡수, 호흡뿌리 등의 구조적, 생리적 적응 덕분에 산소 부족 환경에서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반 나무는 산소 공급을 흙에서만 얻기 때문에 물에 잠기면 질식하게 됩니다. 수생식물의 이러한 독특한 생존 전략은 물속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생식물은 잎이나 줄기에 통기조직이 발달하여 물속에서도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잎 표면의 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수하고, 이를 통기조직을 통해 뿌리까지 전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수생식물은 물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특별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뿌리에서 산소를 직접 흡수하는 대신, 수면에서 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거나, 수중에서 용해된 산소를 이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수생식품은 공기 중에 산소를 직접 흡수하거나 뿌리에서 산소를 방축하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이썽요
또한 수중에서 기체교환이 가능한 기공이나 공기관을 통해 얻기도 하는데요
이게 식물마다 조금씩 방법이 다르답니다.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수생식물들은 특별한 적응 구조를 통해 수중에서도 산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 육상식물과 달리 통기조직(에어렌키마)이라는 특수한 조직을 발달시켰는데, 이는 식물 조직 내에 큰 공기 공간을 형성하여 산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물에 잠긴 잎이나 줄기의 표면에는 미세한 구멍들이 있어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직접 흡수할 수 있으며, 일부 수생식물의 경우 물 위로 나온 잎을 통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뿌리까지 전달하는 방식으로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구조와 기능 덕분에 수생식물은 물속에서도 효과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