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트럼프 1기 때 트럼프가 한반도 평화에 많은 기여를 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는
현재 남-북, 북-미 관계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외교 정책 기조는 미국 국익 우선과 거래적 접근입니다. 북한과의 관계 역시 철저히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거래하려는 시도가 강해질 것입니다. 그는 북한의 핵 위협을 미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며, 이를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려 할 가능성이 큽니다. 공식적으로 미국 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는 과거에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며 일부 핵무기를 용인할 수도 있다는 시사를 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2기 집권 시 실질적인 비핵화가 어렵다면, 핵 능력 감축 또는 동결과 같은 핵군축 협상 형태로 전환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트럼프는 미 본토에 대한 북한 핵 타격 능력 제거를 최우선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어떻게 보고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에도 트럼프는 북한을 만만하게 보는 것 같고
자신이 어떻게든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처럼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따라서 그들을 인정해주고, 그들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을 하는 것 같습니다. 북한도 점차적으로 무력도발보다는 자국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해주고, 남한을 무력통일의 대상이 아닌, 다른 국가로 인정하여 자국의 영토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으로 보여진다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김정은과 여전히 좋은 관계라며 강조하고 대화 의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핵 무력 강화에 집중 중이라 대화에는 소극적입니다.
국제 정세도 복잡해져서 실질적인 북미 협상재개 가능성은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에 트럼프는 북한을 여전히 협상 가능한 상대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기 때처럼 톱다운 방식의 대화 재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현재 핵 문제 해결보다는 미국 우선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구체적인 진전은 미지수로 보입니다. 이에 군사적 긴장 완화 보다는 실리 외교가 우선 될 전망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남ㅡ북은 지금 처럼 적당한 긴장과 완충지대로, 북ㅡ미의 경우엔 전략적 관리 대상(국제 긴장 발생 트리거와 미국 체제 강제력 의 지렝대)정도로 본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