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어떻게 보고 있나요?

트럼프 1기 때 트럼프가 한반도 평화에 많은 기여를 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는

현재 남-북, 북-미 관계를 어떻게 보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외교 정책 기조는 미국 국익 우선과 거래적 접근입니다. 북한과의 관계 역시 철저히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거래하려는 시도가 강해질 것입니다. 그는 북한의 핵 위협을 미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며, 이를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려 할 가능성이 큽니다. 공식적으로 미국 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는 과거에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지칭하며 일부 핵무기를 용인할 수도 있다는 시사를 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2기 집권 시 실질적인 비핵화가 어렵다면, 핵 능력 감축 또는 동결과 같은 핵군축 협상 형태로 전환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트럼프는 미 본토에 대한 북한 핵 타격 능력 제거를 최우선 목표로 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어떻게 보고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에도 트럼프는 북한을 만만하게 보는 것 같고

    자신이 어떻게든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처럼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트럼프는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따라서 그들을 인정해주고, 그들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을 하는 것 같습니다. 북한도 점차적으로 무력도발보다는 자국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해주고, 남한을 무력통일의 대상이 아닌, 다른 국가로 인정하여 자국의 영토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으로 보여진다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김정은과 여전히 좋은 관계라며 강조하고 대화 의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핵 무력 강화에 집중 중이라 대화에는 소극적입니다.

    국제 정세도 복잡해져서 실질적인 북미 협상재개 가능성은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에 트럼프는 북한을 여전히 협상 가능한 상대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기 때처럼 톱다운 방식의 대화 재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지만 현재 핵 문제 해결보다는 미국 우선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구체적인 진전은 미지수로 보입니다. 이에 군사적 긴장 완화 보다는 실리 외교가 우선 될 전망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남ㅡ북은 지금 처럼 적당한 긴장과 완충지대로, 북ㅡ미의 경우엔 전략적 관리 대상(국제 긴장 발생 트리거와 미국 체제 강제력 의 지렝대)정도로 본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