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는 왜 지진이 크게 나지 않는 것인가요?

우리나라는 왜 지진이 크게 나지 않는 것인가요?

이웃나라 일본은 매년 크고작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가까운

우리나라는 조용합니다. 그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일본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있어, 매우 활발한 지진 활동이 있는 지역입니다. 이곳에서는 태평양 판, 필리핀 해 판, 유라시아 판 등이 서로 충돌하거나 접촉하는 복잡한 판 경계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충돌이나 미끄러짐이 일본에서 빈번하게 지진을 발생시키는 원인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판의 내부에 위치해 있으며, 판의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입니다. 따라서 지진을 일으키는 주요 판들의 충돌이 한국에서는 크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지진 활동이 적습니다. 즉, 지진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판 경계에서 먼, 안정된 지각 지역에 위치해 있어 큰 지진이 드물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진은 대부분 판 경계에서 발생하지만, 판 내부에서도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판 경계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규모가 크고 자주 발생하는 반면, 판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대체로 작고 빈도가 낮습니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판의 내부에 위치해 있어, 판 내부의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은 가능하지만 그 규모는 일본과 같은 판 경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빈도도 낮습니다. 그렇다해서 우리나라가 지진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한국에서도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지만, 그 빈도와 강도는 일본에 비해 훨씬 적습니다. 예를 들어, 2016년에 발생한 경주 지진과 2017년의 포항 지진이 한국에서 기록된 큰 지진 중 일부이지만, 일본과 같은 규모의 빈번한 대지진은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진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되지만, 최근 들어 작은 규모의 지진들이 더 자주 관측되고 있습니다. 이는 판 내부의 응력(압력)이 시간이 지나면서 축적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도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