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헌티셔츠
헌티셔츠

미수금과 미수수익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회계처리를 하는 계정과목의 종류에 미수금과 미수수익이 있다고 기억하는데요. 둘 다 받지 못한 돈인데 어떤 의미의 차이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수수익은 금액이 확정이 되어가는 자산인 반면 미수금은 이미 금액이 확정된 받지 못한 금액을 말합니다. 이미 금액이 확정되었는지 아직 확정되지 않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수금과 미수수익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수금과 미수수익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수금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으로는 자산의 처분이나 양도로 인함이고

    미수수익은 서비스나 물건을 판매했는데 받지 못한 것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항목으로 처리하냐 수익계정으로 처리하냐의 차이일뿐입니다

    미수금과 미수수익은 성격은 동일하나 수익으로 바로 반영하여 처리할것이냐 아니면 자산항목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아서 자산 항목으로 처리하냐 차이입니다

    수익비용대응의 원칙으로 주영업활동과 관련성이 적은데 어떤 대가를 납부하여 비용처리를 했다면 반대편에 수익으로 처리하여 미수수익으로 계정과목으로 하는것이며 미수금은 어떤 상응하는 대가를 비용으로 처리한게 아니라 반대편의 특정 자산을 대가로 납부하고 자산감소 항목으로 처리했다면 미수금으로 자산취득항목으로 처리한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수금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 이외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수 채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보유하던 설비나 부동산을 매각하고 아직 대금을 받지 못한 경우, 이 금액은 미수금으로 처리됩니다. 이는 본업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거래에서 발생한 채권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미수수익은 수익이 발생했지만 아직 현금으로 회수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주로 이자나 임대료와 같은 수익이 기간에 따라 발생하지만, 결산일까지 현금으로 받지 못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은행에 예치한 정기예금의 이자가 기간에 따라 발생했지만, 아직 수령하지 않은 경우 해당 이자는 미수수익으로 처리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일시적으로 발생한 

    미수금은 제공된 재화나 용역에 대한 확정된 채권이며, 미수수익은  특정 회계 기간에 생겼으나 현금 수취나 기록이 되지 않은 수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