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그플레이션이 현재 와있는 상태인가요 ? 개미들의 대처방안은?
안녕하세요
경제 및 투자에 관심이 많은 직장인입니다.
작년 코인투자에 실패하고, 좀더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현재 스테그플레이션이 드래한 상황인가요 ? 경제채널에서 그렇다고 하는것 같은데
명확하게 선을 그어주질 않네요 ㅎㅎ 올것이다.. 이정도만 얘기하고
만약 스테그플레이션이 왓다면, 금투자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
오늘 한행에서 빅스텝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하여 기준금리가 2.25포인트로 미국의 금리를 역전하였는데, 대출부담에 따른 소비감소등 경기침체로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안전한 자산에 투자를 하는것이 현 시장에서 대응하기위한 방법이 아닐까 싶네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 불황이 오는 경우인데, 한국 경제가 스테그플레이션에 빠져있다고 보는 것은 약간 무리가 있습니다. 오히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과정에서의 진통이라 보는 게 맞으며, 결국 인플레이션은 극복이 될 것이고 조금씩은 꾸준히 있어온 경제현상이므로 꾸준히 주식, 부동산 등에 대한 투자 + 자신에 대한 투자(여기에는 손해가 없지요.)를 병행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스태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지만 확실한 경기침체의 상황은 아닙니다. 따라서 전문가들도 명확하게 스테크플레이션이다 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침체의 상황에서 금은 좋은 투자처입니다. 안전자산이면서 인플레이션 헷지도 가능함에 따라 금에 대한 투자는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경기가 어렵고 물가가 치솟은 상태이기는 하나
금리인상을 통하여 물가를 억제하고 있는 등 아직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라보입니다.
금과 같은 경우에도 전통의 안전자산으로 취급받고 있습니다만
변동성이 매우 크고 미래에 어떤 흐름을 보일지 모르기 때문에
공부 후, 신중하게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오게 되면 수요가 줄어들어 기업의 매출이 떨어지게 되고 원자재 가격이 올라서 영업이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실적이 좋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회사의 성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들이 보유한 주식가격도 떨어지게 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에는 공급의 변화가 크지 않는 금이나 저평가된 성장주를 투자를 생각할 수 있고 가격이 오르더라도 수요가 어느 정도 일정한 필수 소비재와 관련된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스테그플레이션이라는 의미는 비교적 명확하지만, 그에 대한 기준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들도 현재의 시국이 스태그플레이션이다 아니다 라고 명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입니다. 누군가의 기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이고 누군가의 기준에서는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고물가, 경기후퇴의 상황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서, 스태그플레이션이 언급될만한 상황이 된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각국은 금리인상의 카드를 꺼내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 변경과 관련이 깊습니다.
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됩니다.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110051618001
경제학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두 가지 주요 설명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정부가 너무 빨리 통화량을 늘리면서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만들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경제성장을 늦추는 정책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정책은 대개 경제성장을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