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은혜로운날다람쥐57
은혜로운날다람쥐5723.06.16

투명도가 변하는 유리는 어떤 원리일까요

유리인데 투명도 조절이 되는 유리를 보았는데 굉장히 유용해보이더라구요 이런 유리는 어떠한 원리에 의해 불투명 상태 투명 상태를 변경시키는걸까요 미리 답변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제품은 사실 한겹이 아닙니다.

    유리와 유리사이에 전극이 흐르는 물질을 집어넣어 전극에 의해서 투명도를 조절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와 유리 사이에 고분자(편광물질)를 넣어서 전기를 주면 한쪽 방향으로 고분자가 배열하여 투명하게 되고, 전기가 없을 때는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불투명해 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런 유리는 SPD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집니다.

    SPD 기술은 전기를 통해 액정 내부의 입자들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유리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액정 입자들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고, 전기를 통해 액정 입자들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유리의 색상과 투명도가 변화합니다.

    구체적으로, SPD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스마트 윈도우에서는 전기가 공급되면 액정 입자들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에 따라 유리의 투명도가 조절됩니다. 전기가 공급되면 액정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 투명해지고, 전기가 차단되면 입자들이 모여서 불투명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투명도가 조절되는 유리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윈도우' 또는 '스위칭 윈도우'라고 불리며, 두 가지 주요 원리에 의해 작동합니다. 이러한 유리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1. 전기 기반 스마트 윈도우: 이 유리는 전기를 통해 투명 상태와 불투명 상태를 전환합니다. 유리에는 투명한 전도성 층(예: 투명한 금속 층)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층은 전기 신호를 받아들여 투명 또는 불투명한 상태로 변화합니다.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전도성 층의 입자들이 정렬되어 빛을 투과시키는 상태가 되며, 전기 신호가 차단되면 입자들이 무질서한 상태로 돌아가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 상태가 됩니다.

    2. 액정 기반 스마트 윈도우: 이 유리는 액정(액체 결정)을 사용하여 투명도를 조절합니다. 액정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삽입되며, 액정의 분자 구조를 변경하여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합니다. 액정의 분자 구조를 변경하기 위해 전기 신호를 사용하며,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액정의 분자가 정렬되어 투명한 상태가 되고, 전기 신호가 차단되면 분자가 무질서한 상태로 변하여 빛을 차단하는 불투명 상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 투명도 조절 유리는 전기장을 가해 유리 내부의 물질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전기장이 가해지면 유리 내부의 물질이 배열이 바뀌면서 빛이 통과하는 것을 막습니다. 전기장이 해제되면 물질의 배열이 원래대로 돌아오면서 빛이 통과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저희 회사 본사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데요..원리는 간단합니다.

    유리와 유리를 접합한 것인데..그 사이에 특수 편광물질의 고분자를 넣어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 물질이 한쪽 방향으로

    오리엔테이션이 되면 투명하고 되구요(정렬), 전기를 빼면..다시 무질서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불투명하게 된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