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시장에서 서킷브레이크는 어떤 경우에 발동하는가요?
증권시장에서 증시가격의 급격한 하락으로 서킷브레이크가 발동한다 하는데 어떠한 기준으로 발동하며 그와 반대개념으로 급격한 과열로 상승시 발동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하는기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브레이크는 현물시장과 선물시장 각각 발동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주식시장은 현물시장으로서, 이 경우 급락(하락)시에만 발동합니다. 전일종가 대비 1단계 8%, 2단계 15%, 3단계 20%하락 내지 2단계 대비 추가 1%일 때 발동되며, 1~2단계는 20분 거래중지,3단계는 해당일 거래중지입니다.
하락시만 발동하기에 반대개념은 없구요
선물시장은 상승, 하락시 모두 서킷브레이크 발동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의 안정을 위해 설정된 장치이므로, 급격한 하락또는 일정비율이상 급등할때로 인한 패닉 매매나 과열로 인한 과도한 상승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증권시장에는 투자자 보호 및 시장 안정성 확보를 위해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제도가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 코스피 또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8% 이상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발동됩니다. 발동 시 20분간 거래가 중단되고, 10분간 동시호가 접수 후 거래가 재개됩니다.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한 시장 급변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코스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코스닥 지수가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하여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발동됩니다. 발동 시 5분간 프로그램 매매 호가 접수 및 체결이 정지되지만, 프로그램 매매 이외의 거래는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제도들은 시장 상황에 따라 발동 조건 및 효과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서킷브레이커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1단계는 종합주가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8% 이상 하락한 경우에 발동됩니다.
1단계 발동지수보다 1% 이상 추가 하락해 1분간 지속될 경우 20분간 코스피 시장의 2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됩니다.
2단계 이후 코스피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종가 지수 대비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지수보다 1% 이상 추가 하락해 1분간 이어지면 당일 코스피 시장의 매매는 종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