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관련 국가 자격증에 도전해볼까 생각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길면 2~3년의 직장생활의 막을 내려야 하는 시기가 오게 되어 여러모로 혼란스럽고 뭔가를 준비해
두어야 하지 않을까 심란한 맘에 문의드립니다.
원래 공학도 출신(화학공학)이지만 명퇴후 제 전공쪽보다는 전기쪽의 전망이 괜찮다고하여
전기관련(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에 도전해볼까 하는데..
이 자격증 취득에는 응시자격이 관련 학과 전공을 했거나 무슨 훈련과정,실무자 등이 대상이라고 하는데
저처럼 화공을 전공한 대졸자는 전기산업기사나 전기기사에 시험 자격이 없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 관련 자격증은 전기기사나 전기기능사 같은 국가 자격증으로, 특히 새로운 커리어를 준비하는 데 아주 유용합니다. 전기기사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전기기능사는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어 직장 생활 후 전환할 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지 생각해보고 시작하면 좋겠습니다. 준비하는 과정에서 배운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어 더욱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습니다. 학습은 관련 서적과 온라인 강의를 통해 충분히 독학이 가능하고, 자격증 취득 후에는 전기 설비나 공사 관련 업무로의 전환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은 큐넷 가입하셔서 학과나 경력 넣으시고 자격되는지 여부 판단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기능사 따고 나서 경력채우고 시험준비하시는건데 힘내세요 ~
화학쪽에 대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 보통 건축 토목 통신 관련 해서 자격증이 있거나 학력을 보는데요
시작부터 전기기능사로 하게 되면 기능사+실무1년 만으로 산업기사 응시됩니다
그리고 산업기사를 취득 후에 위험물을 공부하는게 전공을 살릴거로 보입니다
퇴임후에도 전공을 살리면 좋을듯해요.
대비용으로 미리 전기기사(산업기사) 준비하면 좋죠.
화공과 학위가 있다면 연계학과로 기사시험 자격이 주어지는것으로 알고 있어요.
큐넷홈페이지 로그인 후 학과 등록 등 입력하세요.
그리고 전기기사 시험가능한지 선택하시면 가능, 불가능이 떠요.
화공과면 전기, 환경관련(수질,대기 등) 생각보다 연관된 많은 자격증 딸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답니다.
도움되었으면 해요.
참고로 환경전공인데 전기, 토목, 조경, 환경관련 등 자격이 주어지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