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9

고무신 대신 기성화를 신게 된 시기는 언제일까요?

현재는 운동화, 구두 등 다양한 신발을 신습니다.

이런 신발을 신기전에는 고무신을 신었다고 알고 있는데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1.19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구두를 신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 개화파

    정치인들과 외교관들이 구두를

    신고 국내에 들어오면서부터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고무는 11세기에 멕시코에서 공에 사용한 것이 시초이며, 유럽에서는 1770년 프리스틀리(Priestley,J.)가 지우개로 사용한 이래 고무신·운동화·타이어·고무줄·고무장갑·비옷·전기절연체와 각종 전자제품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922년대에 비로소 우리 나라에도 고무신공장이 난립하여 구두형이 아닌 현재와 같은 고무신을 다량 생산하였는데, 그 상표들을 보면 경표(京表)·상표(上表)·별표·대륙표(大陸表) 등이었다.고무신을 최초로 신은 사람은 순종이었다.

    고무신 사용 변천의 흐름을 살펴보면, 1938년부터 1945년까지는 민족항일기로 통제기였고, 1945년 이후 6·25전쟁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다가, 1960년경부터 고무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의 피부와 위생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만든 운동화의 대중화 및 구두의 생활화로 그 선호도가 날로 저하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무신을 신기 시작한것도 일제시대에 부터 많이 신기 시작하였습니다.

    그전에는 짚신 또는 나막신 같은 것을 신었으며 고무신은 일제시대에

    많은 백성들이 신기 시작하였고 그 당시 서구 문물들이 들어 오면서

    구두등 다양한 신발들을 신었던걸로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고무공업이 시작된 시기는 1919년으로 이하영이 대륙 고무주식회사를 처음 창설하였고, 1921년에 김성수가 중앙 상공주식회사를 창설하였으며, 김동원은 정창 고무공장을 평양에 설립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선각자들의 기업으로 그 당시 짚신, 미투리, 갖신, 나막신을 신을 때 고무신이 생산되어 크게 인기를 끌게 됩니다.

    고무신은 갖신이나 당혜, 짚신보다 방수가 잘 되어 실용적이었으며, 가격은 40전이었고, 고무제품으로서는 신발류가 유일한 생산품이었죠. 고무신을 최초로 신은 이는 순종이었습니다. 고무신 사용변천의 흐름은 1938년부터 1945년까지는 민족항일기로 통제기였고, 1945년 이후 6.25남침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다가, 1960년경부터 고무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의 피부와 위생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만든 운동화의 대중화 및 구두의 생활화로 그 선호도가 날로 저하되어 오늘에 이르릅니다.

    나라 잃은 임금님인 순종(純宗)은 고무신을 신은 최초의 한국 사람이었는데, 조선 고무신의 원조인 대륙(大陸)고무가 1922년 9월 21일자의 신문의 광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륙고무가 고무신을 출매함에 있어 이왕(純宗)께서 이용하심에 황감함을 비롯하여 여관(女官) 각위의 애용을 수하야- '이 최초의 고무신 메이커는 미국 공사로 재임시 갓 쓰고 도포 차림으로 양춤을 잘 추어 워싱턴 사교계에서 인기를 끌었던 이하영(李夏榮) 대신이다.'

    만월표 고무신 공장이 전주에 세워진 것은 그 10년 후의 일이었습니다. 당시 고무공장 큰아기는 신여성으로 무척 선망 받던 존재였죠. '이른 새벽 통근차 고동 소리에 고무공장 큰아기 벤또밥 싼다 하루 종일 쭈그리고 신발 붙일 제얼굴 예쁜 색시라야 예쁘게 붙인다나 감독 앞에 해죽해죽 아양이 밑천 고무공장 큰아기 세루치마는 감독 나리 사다준 선물이라나.' 그 무렵 유행했던 `고무공장 큰아기'라는 신민요입니다.

    최초의 고무신은 폐고무들을 원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검정 고무신'이 주종을 이룹니다. 그 후에 표백제를 첨가한 고급의 흰 고무신을 만들게 됩니다.


    이후에 여러 세계문화가 들어오며 기성복들의 변화가 시작되고, 개성과 함께 의상에 따라 여러가지로 착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