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트럼프 취임식 발언 미국우선주의는 과연 무엇일까요?
트럼프는 공공연히 외교적 발언에서 캐나다 보고는 관세를 못낸다면 우리의 52주가 되라고 지도자로써는 품위없는 발언을 하는데 미국이 초강대국인걸 상대에게 각인을 시켜줄려는건지?
그린란드를 팔아라고 농담 아니라고 그러는데 이게 적을 더 많이 만드는 방식이 아닌지
전쟁을 종식 하겠다고 하고선 본인은 오히려 깡패같은 발언을 서슴없이 하는데 이런 발언들이 쌓이면
전세계가 냉전분위기로 가는게 아닌지 우려가됩니다
미국우선주의가 과연 미국에 득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결국 미국 내에서의 생산을 늘리고, 미국의 근로자들을 고용하게 하고 등등 미국에 이익이 되는 방향이라면 다른 나라가 조금 손해를 보거나 해도 상관 쓰지 않겠다 라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미국의 어느 정권이라도 미국 우선주의를 행해왔지만 트럼프 처럼 말로써 표현하고, 이를 통해서 지지자들의 표를 이끌어낸 대통령은 잘 없었다라고 봅니다. 지금은 더 자극적이고, 편가르기, 갈등을 만들어야 자신들의 표를 가져올 수 있기에 하는 행동이라 봅니다. 또한 미국이 그동안 세계의 경찰이나 질서를 지키는 국가로 포장했던 것을 오히려 더 강력한 이미지로 만들기 위해 트럼프가 더 자극적으로 행동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은 우려했던 것 보다는 순화된 정책이나 흐름이 만들어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재 전세계적으로 중국의 시진핑, 러시아의 푸틴, 이스라엘, 중동 등의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 또한 미국이 아닐까 합니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강하게 나가는 것이라 볼 수 있죠.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는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 기조를 말합니다.
주요 정책으로는 무역 관세 부과(중국·EU 대상), TPP 탈퇴, △NAFTA 재협상, 자국 기업 유턴 유도 등이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기조를 통해 자국 제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으나, 다른 국가에는 글로벌 공급망 혼란, 무역전쟁 심화, 경제 성장률 둔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한국은 철강 수출 제한, 자동차 관세 위협 등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큰 걱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