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스마트한바다표범101
스마트한바다표범10124.02.21

담낭 초음파검사시 섬유조직이 관찰될수 있나요?

나이
31
성별
남성
어머니께서 61세이신데

2주전 술먹고 다음날에 위치상 간쪽이 아프셔서 동네병원에서 일단 원래 위염도 살짝 있으셔서 위염약을 처방받으시고 괜찮아지셨습니다.


근데 불안하셨는지 복부초음파 검사를 진행했었는데요


가로 2.5cm 세로 1cm? 정도 가량의 용종같은게 발견되어서 암일지도 모른다는 소견으로


원자력병원에 가서 CT를 찍어봤습니다


근데 CT상으로는 완전 깨끗해서 암이 아니라고 하시고


초음파 상에 보인건 섬유조직?? 일 수 있다는 소견을 받고 3개월마다 추적관찰하기로 했는데요


처음 간 병원에 소견서를 자세하게 다시 회신 했습니다.


CT상에서 깨끗하면 진짜 용종 or 암이 아닌거 맞나요?


초음파에서 보인건 섬유조직(?) 일수 있다는데 진짜 그렇게 보이기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크기가 작은 용종의 경우 CT에서 관찰되지 않을 수 있어 적어주신 단위가 맞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초음파에서 담낭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으나 검사자의 숙련도와 그날 수검자의 상태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의 경우 음파의 반향으로 인한 인공부산물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추적 검사가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섬유조직이라는 건 좀 애매하지만...

    초음파는 측정을 글자 그대로 초음파로 합니다. CT의 경우는 엑스레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일부 조직에 있어서는 초음파에서는 보이지만 CT에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부터 해결을 하시면 됩니다

    우선 암의 가능성이 있는가?

    악성병변은 CT에서 보입니다. 오히려 잘 보입니다

    따라서 초음파에서 무엇이 보였다고 할지라도 CT에서 이상이 없다면 혹은 양성병변으로 보였다면

    악성병변의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그렇다고 초음파 소견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으니까 추적관찰을 하자는 것인데요...

    이렇게 상황이 애매하고 병변의 크기가 클 때 MRI를 추가적으로 촬영을 했으면

    더 많은 정보를 얻었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CT 검사는 더 높은 해상도로 내부 기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초음파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CT상에서 깨끗하다고 판단된다면, 이는 대체로 용종이나 암과 같은 심각한 상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음파를 추적검사해서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있는지 관찰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섬유 조직은 암과는 다르며 담남벽 일부가 비특이적으로 두꺼워 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섬유 조직이 지속적으로 커지는 경우, 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서 정기적으로

    초음파를 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는데 문제는 CT 가 더 정확하기 때문에 CT 에서 관찰되지

    않았다면 실제로 용종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