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마다 시간의 속도는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터스텔라를 보면 어디 행성에 갔다 온 뒤로 10년이 세월이 흐르는데요
(우주선 있는 사람에게는 10년, 행성에 갔다온 사람들은 2~3일)
정말로 우주에 있는 행성마다 시간의 속도는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지연은 빛의 속도와 가깝게 달릴때 발생합니다
빛의속도에 0.99배로 가속할시 시간지연이 2.3배정도 발생하고 0.9999배로 가속할시에 시간지연이 70배 정도 일어납니다 그리하여 블랙홀에서 탈출할때 매우 빠른 속도로 탈출 했기에 엄청나게 많은 시간을 허비한것이죠 행성의 중력에 관한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따라 중력이 강한곳에서는 상대적으로 시간이 느리게흐릅니다.
인터스텔라에서는 중력이 강한 블랙홀 근처 행성에서 시간을 보냈기에, 그만큼 지구와의 시간차이가 벌어져 버리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시간과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질량과 속도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나 강력한 중력이 작용하는 장소에서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인터스텔라"에서 묘사된 상황은 상대성 이론의 개념을 반영한 것입니다. 우주에 있는 행성은 강력한 중력을 가지고 있거나 매우 빠르게 회전하고 있어서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우주선에 있는 사람들과 행성에 갔다온 사람들 사이에서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실제로도 상대성 이론에 따라 시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GPS 시스템의 위성은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상에서 사용하는 시계와의 시간 차이를 보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인터스텔라"의 상황은 영화의 설정이며, 실제로 이런 극단적인 상황은 현실에서는 드뭅니다. 대부분의 우주 여행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이며, 이러한 상대성 이론의 효과는 일상적인 인간의 경험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인터스텔라"에서 나타난 시간의 경과는 상대성 이론의 한 측면인 시간 비틀림(time dilation)에 기반한 개념입니다. 상대성 이론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이론으로, 질량이나 속도에 따라 시간의 경과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우주 여행을 하면서 빠르게 이동하거나 중력이 강한 곳으로 이동하면, 그 주변에서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경과합니다. 이를 통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