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이 왜 주주친화 정책인가요?
기업이 주주친화적 정책으로 자사주 소각을 한다고 하던데요. 배당처럼 직접 돈을 주는 것도 아닌데 자사주 소각이 주주에게 뭐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소각하는 것으로 기업의 가치는 그대로인데 주식의 수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 입장에서는 좋은 것입니다. 주당 가치가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쉽게 1조짜리 회사가 1만주가 발행되어 있었는데, 9천주로 줄어들면 그만큼 가치가 올라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소각을 통해 발행된 주식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업의 주식 시장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의 투자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소각을 하면 주식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주식 수가 줄어드는 만큼 1주당 회사의 순자산 및 순익에 대해 가지게 되는 권리거 커지며, 따라서 주가 상승으로 연결됩니다.
또한 배당금 역시 10000원을 10000주로 나누면 1주당 1원이지만, 5000주로 나누면 1주당 2원 배당되므로 주주에게 도음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의 소각은 주주친화적인 정책입니다.
주식의 소각은 상장회사의 주식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즉 A 상장회사의 주식 총발생량 1,000주가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데 100주를 소각한다면 시장에서 900주만이 유통됨으로 공급이 감소함에 따라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자사주 소각은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의 총 수를 줄임으로 주당 순이익(EPS)이 증가하게 되고 주식의 내재 가치를 높이고, 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주주들에게 이익을 환원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하여 시장에서 기업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켜 줌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자사주 소각은 주주친화 정책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자사주를 소각하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 순이익(EPS)이 증가하고, 주식의 내재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주식 수가 줄어들면 주당 배당금이 증가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자사주 소각은 경영진이 자사 주식의 가치를 신뢰한다는 신호로 해석되어 주가를 지지하고,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높입니다.
이로 인해 주주의 지분 비율이 증가하여 의사결정 영향력이 강화됩니다.
마지막으로, 자사주 소각은 자기자본이 감소하더라도 자본 대비 수익률(ROE)이 증가하여 주주가치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자사주 소각은 주주들에게 유리한 정책으로 간주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유통주식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이익이영금이 감소되고 이로인하여 ROE가 올라가는 재무적효과가 있으며 EPS도 올라가면서 PER의 밸류에이션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이를 장기적으로 한다면 이런 소각이 장기적인 기대효과로 장기적인 매수세와 높은 ROE를 유지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사주 소각이 왜 주주친화 정책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하게 되면 시중에 유통되는 주식의 숫자가 줄어들어서
남은 주식의 주가가 오르게 되기에 주주친화 정책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는 것은 유통하는 주식수를 줄이는 등 이에 따라서 해당
주식수의 희소성이 더 커지고 이에 따라서 가치가 더 생기기에
주주친화 정책이라고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각을 통해 회사의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면서 남아있는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거나 매입한 자사주를 시장에서 영구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남은 주식에 대한 주당 순이익(EPS)을 증가시키고, 이는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