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아파트 전기 시설 관리 업무를 하려면 어떠한 자격과 경력을 갖추어야 하나요?

50대 중 후반에 다니면 it기업에서 물러날것으로 보입니다. 40대까지는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40대 후반부터는 외주 업체 관리와 임원 보고용 PPT문서 작성만해왔습니다. 50대 중후반에 퇴직을 하게 되면 전기기사를 취득해서 아파트 전기 시설 관리 업무를 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기존에 해오던 업무와 완전히 달라서, IT 관리경력은 인정이 되지 않을것 같은데요. 전기 시설 관리 경력은 어디에서 어떻게 쌓는 것인가요? 아파트 전기 시설 업무를 하려면 전기기사 이외에 다른 자격증이 필요한가요? 실제로 경험해보신분들 계시면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파트전기시설 관리업무에 전기기사는 딱 제격인 자격증이죠. 시설업무 경험은 공장이나 시설물에 간혹 채용공고가 있는데 거기를 가거나 건설현장이 제격이죠.

    전기기사에 소방전기기사까지 따시면 1석2조겠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아파트 전기 시설 관리 업무를 위해서는 전기 관련 자격증과 실무 경험이 중요합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전기 안전 관리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자격이며, 고압 및 저압 전기 설비의 안전관리 업무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특히 아파트 전기 시설 관리는 전기 안전이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전기기사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실무 경험이 부족하다면 자원봉사나 계약직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연령에 관계없이 전기 분야에서 경력 전환이 가능하니 도전에 앞서 충분한 준비와 학습을 통해 전기기사 자격증을 취득해 보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남자분이신거지요? 요즘 아파트 전기과장도 다다익선이라서 전기기사외에 기본적으로 다른 자격증 있는걸 선호하더라구요. 일단 경험과 경력이 모두 필요하고 나이도 50대를 선호한다고 합니다.

  • 공무원하다 50대중반에 시설에 와서 전기기사 공부하시던분 6년이상 실기에서 계속 떨어지고 있다네요

    게다가 경험이 없으면 안써줍니다 나이도 그렇고, 지원자 경쟁률이 많습니다. 기능사로 보조업무는 형광등 교체하러 다녀야 하고, 아파트에서 페인트칠이나 잡일도 해야합니다. 조경으로 나무들 비료를 주러가는 것도 있고, 관리소장이 벽등이 지저분하다, 스프링클러가 지져분하다 해서 다 닦으러 다닌적도 있습니다 주차장쪽에... 차라리 전기보다는 에너지관리사 쪽 , 기계분야가 전기보다는 그나마 쉽고 나이드신분들이 할만한것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