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한국 제품도 비싸지는 건가요?
미국이 관세 올리면 한국산 물건 사는 미국 사람들한테 다 영향을 주는 거죠? 예를 들어 현대차나 휴대폰 같은 거 사는 미국 내 소비자들한테도 가격이 오르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관세를 올리면 기본적으로 그 부담은 수입업자가 지지만, 유통 과정에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대차 같은 자동차는 현지 생산 비중이 커서 모델별로 차이가 있고, 휴대폰 같은 전자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니 가격 전가가 더 직접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 소비자도 제품 종류에 따라 체감 차이는 크지만 관세가 결국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건 맞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인상되면 가장 먼저 수입업자가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업이 그 비용을 전부 흡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정 부분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대차나 휴대폰 같은 우리나라 제품도 미국 내 판매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다만 업체가 시장 점유율 유지를 위해 가격을 억제하거나 다른 비용 절감으로 대응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경쟁 상황에 따라서는 가격 인상이 지연되거나 일부 모델에만 반영될 수 있습니다. 결국 관세 부담이 누구에게 최종적으로 돌아갈지는 업계 전략과 소비자 수요 탄력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국에 수입되는 한국산 제품의 관세는 15% 관세가 부과됩니다. FTA협정 이외에 15%의 상호관세가 추가로 부과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대차 등 수입물품의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수입물품의 가격은 관세 뿐만 아니라 대체재, 공급망 구조, 가격정책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추후 어떤 결과가 있을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러한 관세가 결국에는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기에 이에 따라서 물품의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트럼프 정부가 강하게 압박하고 있기에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관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에 대한 결과는 현재로서 아무도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는 상품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며, 이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전가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물론 관세부과액의 전부가 소비자에게 전가되지는 않을 것이나, 어느정도의 물가상승은 예정된 수순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한국의 제품도 가격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