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목마른돼지239
목마른돼지239

타임스탬프(timestamp)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나요?

블록체인 관련 글을 읽다가 타임스탬프라는 개념을 발견하였는데요.

이러한 타임스탬프 (timestamp)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몰라 이곳 아하 전문가님께 문의드립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려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블록은 블록 헤더와 블록 바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질문해주신 타임스탬프는 블록 헤더에 저장되는 정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버전 :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버전

      2. 이전 블록의 해시 값 : 이전 블록헤더를 해싱한 값

      3. 머클 루트 : 블록의 거래 정보를 이진 트리로 해싱 했을 때 모든 거래 내역이 포함된 하나의 해시 값

      4. 비츠 : 블록의 작업 증명 연산을 위한 난이도 타겟 값

      5. 타임 스탬프 : 블록의 생성 시간

      6. 논스 : 블록이 설정해 놓은 값보다 더 낮은 값을 찾기 위해 무작위로 대입하는 임시 값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마이닝 노드가 블록 해시 값을 구하는 연산을 실행하고 그 값을 구해야만 블록을 생성하고 체인으로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1. POW 합의 알고리즘에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블록 해시 값을 연산한다고 할 때 소프트웨어 버전,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머클루트의 해시 값인 머클 해시, 블록이 생성된 시간, 난이도는 결정이 되고 변하지 않습니다.

      2. 다만 논스의 경우에는 변할 수 있는 무작위 값이기 때문에 논스가 달라짐으로써 새로운 블록의 해시 값이 다르게 연산되어 나오게 됩니다.

      3. 따라서 무작위 논스 값을 해시 함수에 대입하면서 난이도 값과 같거나 낮은 값을 찾는 연산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값을 찾게 되면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논스를 비롯한 나머지 모든 값을 더한 후 이것을 해싱하게 되면 이 새로운 블록의 해시 값을 구할 수 있게 됩니다.

      4. 그리고 그 값이 다시 다음 블록의 해더에 '이전 블록의 해시 값'으로 기록되며 블록체인이 연결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Danny입니다.

      제가 예전에 비트코인 백서를 번역하고 설명한 강의자료가 있는데요..

      전문을 답변으로 첨부합니다.

      [마지막에 영상설명도 있으니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3. Timestamp Server

      The solution we propose begins with a timestamp server. A timestamp server works by taking a hash of a block of items to be timestamped and widely publishing the hash, such as in a newspaper or Usenet post [2-5]. The timestamp proves that the data must have existed at the time, obviously, in order to get into the hash. Each timestamp includes the previous timestamp in its hash, forming a chain, with each additional timestamp reinforcing the ones before it.

      3. 타임스탬프 서버

      우리가 제안하는 솔루션은 타임스탬프 서버로부터 시작된다.

      타임스탬프 서버는 타임스탬프가 찍힌 항목들(정보들)의 블록 해쉬를 가지고, 그 해쉬를 신문이나 유즈넷 포스트와 같은 곳에 널리 발행(배포)한다.

      이러한 타임스탬프는 해당 데이터가 해쉬에 들어가기 위해 명백히 그 시간에 존재했음을 증명해 준다.

      각 타임스탬프는 그것의 해쉬에 이전 타임스탬프를 포함한다. (이는 체인을 형성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인이 형성되면, 타임스탬프가 추가될때마다 이전의 타임스탬프들이 더욱 강화된다.

      Translated Korean from bitcoin.org/bitcoin.pdf by Danny Kim | blockchainleader.kr

      3. Timestamp Server

      타임스탬프 서버

      The solution we propose begins with a timestamp server.

      우리가 제안하는 솔루션은 타임스탬프 서버로부터 시작된다.

      A timestamp server works by taking a hash of a block of items to be timestamped and widely publishing the hash, such as in a newspaper or Usenet post [2-5].

      타임스탬프 서버는 타임스탬프가 찍힌 항목들(정보들)의 블록 해쉬를 가지고, 그 해쉬를 신문이나 유즈넷 포스트와 같은 곳에 널리 발행(배포)한다.

      * 유즈넷

      유즈넷(usenet)은 인터넷을 이루는 한가지로, 유저 네트워크의 준말인데, 주로 텍스트 형태의 기사들을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공개된 공간에서 주고 받아 토론할 수 있게 고안된 분산 네트워크이다. 같은 이름을 가진 일반 용도의 UUCP 네트워크인 Unix User Network 에서 발전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사용자는 전자 게시판의 카테고리와 유사하게 분류된 뉴스그룹이라 불리는 개개의 토론 그룹에서 전자 우편과 유사한 형태의 글을 읽거나 작성하여 토론한다.

      유즈넷은 전 세계에 퍼져있는 서버들끼리 연동하여 글을 저장하고 발송하여 서로 동기화시키는 작업을 통해 어느 서버를 접속하든지 같은 내용의 글들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각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서버의 글을 읽기 위해 뉴스 리더를 이용해야 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

      The timestamp proves that the data must have existed at the time, obviously, in order to get into the hash.

      이러한 타임스탬프는 해당 데이터가 해쉬에 들어가기 위해 명백히 그 시간에 존재했음을 증명해 준다.

      Each timestamp includes the previous timestamp in its hash, forming a chain, with each additional timestamp reinforcing the ones before it.

      각 타임스탬프는 그것의 해쉬에 이전 타임스탬프를 포함한다. (이는 체인을 형성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체인이 형성되면, 타임스탬프가 추가될때마다 이전의 타임스탬프들이 더욱 강화된다.

      https://youtu.be/p4FpM4fcK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