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우리나라 중소벤처 기업 중 35%가 생사기로에 놓였다던데 왜 그런걸까요?

2010년대에는 각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리던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들이 생사기로에 놓였다고 하더라고요. 기술력 부분에 있어서는 세계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진 수준이라고 하던데 왜 이런 어려움을 겪게 된 걸까요? 대기업과의 불공정 거래나 기술 탈취같은 문제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글로벌 시장에 있어서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일까요? 세계 1위 기술력을 가진 강소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원이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는 내수적으로 3중고에 있습니다. 즉 높아진 환율 거기다가 높은 시장금리 상대적으로 이로 인해서 자본의 출자가 어려우며 양극화로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서 대기업들은 오히려 관세무기로 외국으로 직접투자를 늘리면서 국내 공동화현상이 중소기업에게 큰 위기로 다가오게 된것입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중소벤처기업들이 몇년전부터 주요 대기업들이 외국으로 투자를 하게 되면서 이들 기업은 같이 투자를 할 자본과 여건이 안되면서 매출은 줄고 고금리로 순이익이 이자도 커버를 못하는 좀비기업이 늘어나는게 문제이며 이러면서 VC들이나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자본투자도 어려워지면서 더더욱 어려워지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그러면서 높아진 환율은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져가고 인건비도 올라가면서 중소기업들의 환경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 배경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뉴스 보면 우리나라 중소벤처기업 상황이 꽤 심각하다는 얘기가 많습니다. 한때는 특정 분야에서 세계 1위까지 갔던 회사들도 요즘은 버티기 힘들다고 하는데 솔직히 좀 아쉽습니다. 기술력 자체는 여전히 좋은데 문제는 시장 환경이 너무 빨리 변한다는 거죠.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 같은 외부 요인도 부담스럽고 내부적으로는 대기업과의 거래 구조에서 불리한 조건을 떠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술 탈취 얘기까지 여전히 나오는 걸 보면 제도적 보호가 부족한 느낌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중소 벤처 기업 중 35퍼센트가 생사 기로에 놓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제조업 등에서 중국과의 경쟁이 치열하며

    또한 내수 시장 등의 둔화 등으로 인해서

    중소 벤처가 살아남기 힘든 토양이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국내 제조업 평균을 넘지 못한 중소 기업도 절반 이상이었는데, 기술 패러다임이 바뀌고 중국의 거센 추격에 밀렸기 때문입니다.

    중소기업 자체적으론 시장 변화와 기술 발전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대기업과 공동 R&D를 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