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우리나라에서 모내기가 도입되어 시작한 시기는 언제였으며 폰격적으로 전국에 보급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쌀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밭에 그냥 씨를 뿌리는 방법도 있고 모판에서 싹을 틔운 다음에 논에 그 모를 심는 모내기를 똥한 방법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모내기가 도입된 시기는 언제이고 이게 전국적으로 보급되어서 모내기를 통한 농법이 주가 된 시기는 언제부터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모내기는 이앙법이라고 하며, 어린 모를 모판에 재배하여 논에 옮겨 심는 것을 말합니다. 모내기를 하면 2모작이 가능하여 보리를 재배할 수 있으며, 김매기의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내기 철에 가뭄으로 물이 풍족하지 않으면 일년 농사를 망치므로 정부에서는 규제했습니다.

    모내기가 처음 시작한 것은 고려 후기로 남부 일부 지역에 국한되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 모내기의 장점이 많고, 수리시설과 도구가 발전하면서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농가집성>과 같은 농서의 보급으로 이앙법의 보급이 널리 확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