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철을 뿌려서 지구 온난화를 해결한다는방안?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주 오래 전에 바다에 철을 뿌리는 방안이 나왔었다는데요.
플랑크톤의 증식과 온도는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그런 아이디어가 나온 배경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지 않아서 과학 전문가를통해 쉽게 이해하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그러한 아이디어를 해양의 비옥화 라고 하는데 철을 추가하며 해양의 생산성을 높이고 이산화탄소를 줄일려고 하는 방법이지요~ 바다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바다의 기초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지요~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플랑크톤은 죽어서 해저에 가라앉아 장기적으로 탄소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합니다~ 철은 플랑크톤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 중 하나이기에 철을 인위적으로 공급하면 플랑크톤이 더 많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 철을 뿌려 플랑크톤이 증식하면, 이들이 광합성을 통해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게 되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함에 따라 생태계 교란이나 확실한 효과를 가져온다는 확신이 없기에 어디까지나 생각만 하고 있답니다! 날이 덥네요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