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피자헛과 도미노피자의 기업 실적이 예전만큼 못하던데 피자업계가 갑자기 불황인이유가 있나요? 상대적으로 치킨업계는 실적이 좋다고 해서 궁금합니다

피자헛과 도미노피자의 기업 실적이 예전만큼 못하던데 피자업계가 갑자기 불황인이유가 있나요? 상대적으로 치킨업계는 실적이 좋다고 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전반적으로 외식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원가와 인건비 부담이 커지며 피자 프랜차이즈 사업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고물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싼 프랜차이즈 피자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으며 대기업 등에서 발매하는 냉동피자가 상대적으로 품질과 맛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치킨과 맥주의 조합은 국민적 유행으로 번져 지속 성장하고 있는것이지요.

    소비 트랜드가 바뀌는 상황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업계는 원래부터 치킨 보다 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음식이 아니었고, 밀가루(빵) 등을 주식으로 하지 않으며 가성비고 낮고, 상대적으로 맛이 비슷한 피자보다는 양도 더 많고 레시피도 엄청 다양한 치킨에 비해 성장성이 낮을수밖에 없어 피자 실적이 안좋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10년간 피자 판매 데이터를 보면 판매량이 늘지도 못하고 매출 정체기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치킨보다 다소 비싸고 치킨보다 선호되지 않고 특히 저가피자시장이 지속적으로 침투하면서 피자헛과 도미노피자는 가격인상은 못하고 할인정책은 계속 구가하면서 치킨업계와 달리 수익성과 판매량 모두 악화되면서 실적이 망가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헛과 도미노피자의 실적이 예전만큼 좋지 않은 이유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반면 치킨업계는 트렌드와 소비 패턴의 변화에 적합하게 대응하면서 실적 호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를 비교해보면 피자업계 불황과 치킨업계 호황의 차이가 더 분명히 드러납니다.

    첫 번째 이유는 가격 경쟁력의 약화입니다. 피자헛과 도미노피자는 상대적으로 고급화된 이미지와 높은 가격대의 메뉴 구성을 유지해 왔는데, 최근 소비자들은 가성비를 중시하며 피자 브랜드보다 중소형 피자 프랜차이즈나 1인용 소형 피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특히 '반값 피자'를 내세운 중저가 피자 브랜드가 인기를 끌면서 피자헛과 도미노와 같은 대형 브랜드는 가격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배달 시장의 경쟁 심화입니다. 피자 업계는 배달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는데, 최근 배달 앱의 확산으로 다양한 음식 카테고리가 배달 시장에 진입하면서 피자의 독점적 지위가 약화되었습니다. 이제 소비자들은 같은 비용으로 다양한 음식을 주문할 수 있게 되었고, 피자의 매력도 상대적으로 떨어졌습니다.

    세 번째는 소비 트렌드의 변화입니다. 피자는 가족 단위나 단체 고객에게 적합한 메뉴로 인식되어 왔지만, 최근 소비 트렌드는 혼밥이나 1인 가구 중심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치킨은 다양한 사이즈와 메뉴 옵션으로 1인 고객부터 가족 단위 고객까지 폭넓게 공략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치킨업계가 호황을 누리는 이유는 트렌드 대응과 마케팅 전략의 성공입니다. 치킨 프랜차이즈는 신메뉴 출시, 다양한 양념 옵션, '치맥'과 같은 문화적인 결합으로 꾸준히 소비자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또한, 치킨은 배달 시장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카테고리로, 점포당 높은 배달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가성비와 함께, 혼밥부터 단체 모임까지 대응할 수 있는 메뉴의 유연성도 치킨업계 실적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피자 업계의 부진은 가격 경쟁력 약화, 소비 트렌드 변화, 배달 시장 내 경쟁 심화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반면 치킨업계는 트렌드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라는 것이 예전과 다르게 상향평준화가 되었고 사실상 빵에 토핑올린 것과 다르지 않으며 비싼 돈을 주고 먹을 바엔 고기류를 먹는 게 낫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자리 잡혔습니다.

    그래서 그 돈엔 치킨이나 다른 것을 먹는 것과 부모입장에서 보더라도 피자는 빵이라는 탄수화물과 치즈가 막 올라가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이 조금 있고 치킨은 그보다는 실제 고기류에 속하기도 하고 남은 것을 다르게 먹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에 있어서 그 쪽으로 가게 되어있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헛이나 도미노피자가 가성비 별로라서 기업실적이 예전만 못한건 아닐까 싶습니다

    동네 브랜드 아님 피자가 제가 시켜봐도 좀 더 혜자스럽고 가격도 좋더라구요 그러니 통신사할인 받아도 비싼 피자헛이나 도미노피자를 굳이 시켜먹을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다들 저랑 비슷할테니 기업실적도 예전만 못한건 어찌보면 당연한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