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3.23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병합되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에 일본 관련 기사가 많이 나오는데요,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였다보니 그런것 같습니다.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병합되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제는 먼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 대한제국의

    내정을 지도 감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제2차 한일협약(을사5조약)’을

    작성하여 대한제국에 제출하였다.


    그리고 조약을 체결할 것을 강요하고

    무력으로 궁궐을 포위, 위협하였다.

    결국 1905년 11월 17일 내각의

    참정대신(내각수반)이 반대하였으나

    5대신의 동의를 받아내는 데는

    성공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일 합병 혹은 경술 국치 라고 불리우는 이 조약은 실제로는 1910년 8월 22일 (월)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일본 측에서 1주일 동안 발표를 안 하고 있다가, 8월 29일에 순종 황제 조칙 형태로 발표를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8월 29일 발표된 조칙 에는 칙명지보(勅命之寶)라는 행정 결재에만 사용하던 옥새가 찍혀있었을 뿐, 대한제국의 국새 즉 옥쇄가 찍혀있지 않았고 순종황제의 서명조차 없었다고 합니다. 이는 한일병합조약이 대한제국의 정식 조약이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조약은 원천 무효'라는 주장의 강력한 근거입니다. 아마도 을사 5적이라고 불리 우는 사람들의 손에 의해서 만들어진 날조 문서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날은 우리나라의 국권을 상실한 날로 국가적 치욕이라는 의미에서 경술국치라 합니다.

    일제가 대한제국에게 통치권을 일본에 양여함을 규정한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이를 공포한 경술년 8월 29일을 일컫는 말로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합병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었습니다.

    대한제국의 내각 총리대신 이완용과 제 3대 한국 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합병조약을 통과시켰으며 8월 29일 이 조약이 공포되면서 대한제국은 국권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실질적 통치권을 잃었던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편입,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미 조선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그 역사가 다 되었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고종이 마지막

    까지 노력하여 러시아세력을 끌어 들였으나 예상치도 못하게 일본이 러시아를 격파하고 러시아는 조선의 문제에 손을 떼게 됩니다.

    일본은 다만 서양 및 제국주의 세력의 눈치를 본 것이며 각종 조약을 통해 안전하게 조선을 잡음 없이 병합할 시간이 필요했을 뿐입니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조선이 원해서 어쩔수 없이 우리가 합병을 허락한다는 모양새로 치밀하게 합병을 실시합니다. 다시는 격지 말아야

    할 일입니다. 그래서 힘이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제국이 일본에게 병합된 사건은 1910년 8월 22일에 성립된 조약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 조약은 한·일 간에 체결된 강제 병합 조약으로, 당시 일본이 대한제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체결한 조약입니다.


    이 조약은 대한제국의 일부 민간인들과 일부 정치인들이 반대하였지만, 당시 일본은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시키기 위해 강력한 압력과 군사력을 동원하였습니다. 일본은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시키고, 대한제국 국왕을 강제 퇴위시키고, 국민들에게 일본 국적을 부여하여 대한제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강제로 병합된 대한제국은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의 식민지로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는 대한민국으로 독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안타까운 역사죠 ㅜㅜ

    미국인 청와대 외교관 인스 그리스콤의 매개로 1907년과 1910년에 걸쳐 대한제국의 국외참모 제도 발족 등 일본과의 수교 조약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결국 일본에게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조건을 제공하게 됩니다. 일본은 이 조건을 이용하여 대한제국에 대한 수요권을 행사하고,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에 초기 배치되었던 일본군도복 75,000 벌의 하증 조건을 내걸며 대한제국의 독립적인 존재를 위협하게 됩니다. 이에 대한제국은 일본군의 출동을 막을 수 없는 상황이 되자 국왕을 중심으로 귀국하며, 8월 29일 일본에 병합되어 일제강점기가 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