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디지털·가전제품

기타가전

깜찍한황새59
깜찍한황새59

가정용 정수기는 직수형과 저수조형(냉온수 저장통)중에 어느것이 효율적인가요?

집안행사있을때에만 정수기사용이 많고, 거의 하루에 식수로만 2~4리터정도 사용하며 음식이용시 그이상도 사용해요.

적게 먹을시는 2리터정도 소비하는듯하구요.

이런경우엔 직수형과 저수조형(냉온수 저장통)중에 어떤 정수기가 적합할까요?

저수조형만 계속 사용해왔고, 슬림한걸 알아보니 직수형이 많이 나와있더군요.

그러나 왠지 직수형은 답답할것 같고, 어떤것을 선택하는것이 후회없을지 고민이예요.

더구나 직수형은 터치형이라서 노안이 오신 어르신들께서 사용하기 불편할것 같기도 하고,

정수기 소리가 너무 나는것은 싫구요.

직수형과 저수조형(냉온수 저장통)중 선택에 도움 말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가을이오면
    가을이오면

    일상에서 적게 사용하고, 음식용으로도 자주 쓴다면 저수조형이 더 편하고 안정적이에요.

    직수형은 빠르고 편리하지만, 소음이나 답답함, 노인분들이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어요.

    슬림하고 깔끔한 걸 원한다면 직수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소리와 사용 편의성을 중요시한다면 저수조형이 더 후회 없어요.

    결국, 사용 환경과 편리함, 소음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게 가장 좋아요.

  • 직수형은 물을 저장하지 않아 위생적이고 슬림하지만 순간 냉온수 가열/냉각시 소음아 발생할 수 있고 연속으로 많른 양을 사용하면 대기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르신이 사용하실 때 터치 방식이 불편할 수 있고 수간 온수/냉수가 약간 늦게 나오는 점이 답답하게 느꺄질 수 있습니다.

    저수조형은 한 번 냉온수를 만들어 저장해두기 때문에 대량 사용에 쥬리하고 버튼식이 많아 어르신들이 사용이 편합니다.

    대신 내부 저수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하고 공간을 더 차지하는 단점이 있죠.

    소음, 사용 편의, 행사 시 대량 사용 등을 고려하면 지금처럼 저수조형이 더 실용적일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