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자식에 대한 지나친 잔소리, 아이와 멀어지는 지름길일까요?

자식에 대한 지나친 잔소리, 사실상 염려에서 시작된건데 이 잔소리가 아이의 앞길을 망치는걸 알면서도 멈출수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아이와 멀어지고, 아이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지나친 잔소리로 인해서 아이와 멀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나친 간섭으로 인해 아이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가급적이면

    아이에게 자율적인 분위기를 제공해주는 것이 관계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입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훈육을 하여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 시켜주는 것 까지는 좋으나 "이것은 안돼, 저것하지마, 엄마가 그것은 안된다고 했잖아 " 라는 이런 말들은 아이들에게 잔소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잔소리를 계속하게 되면 아이가 관계가 멀어지는 것 이외에 아이의 성격변화 형성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가 있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 하면서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알려주시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준 후,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잔소리가 많아지면 아이는 자신감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모님과의 대화가 점점 줄어들게 되겠죠.

    잔소리 보다는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 있게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부모님도 그 규칙을 함께 지키는 것이 좋겠죠

    그러면 아이도 부모님을 믿고 존경하게 되며, 규칙을 지킴으로 잔소리할 이유도 줄어들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식에게 지나친 잔소리는 아이와 멀어지는 지름길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잔소리에 익숙해지면 나중에듣지도않고 또 그런다고생각해 주의깊게 안듣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