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들의 친구를 정해주는 요즘 부모들
요즘 부모들은 자기 자식들의 친구를 정해준다고합니다.
누구는 어떤애니 놀지마
누구는 부모님이 이거한대 얘랑 잘 어울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그런 부모님들을 헬리콥터맘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아이는 자신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게 됩니다.
오죽하면 직장 면접장까지 따라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자기 결정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문제 중 하나로, 지나친 간섭과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녀의 친구 관계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지거나 관여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하거나, 친구와의 관계를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그들이 성장하면서 겪을 다양한 경험들을 존중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도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가 이 친구와 놀면 안 좋다 라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에 대한 편견을 심어주거나 안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성숙한 어른으로써 할 행동은 아닙니다.
특히 사람 차별 하며 사람을 봐가면서 지내는 행동은 더더욱 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꼭 그렇게 정해주지는 않으며 이는 가정에따라서 다를수있으며
보편적이라고 보기는 어렵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예전과는 다르게 말씀하신대로 부모님께서 친구를 제재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는 진짜로 불량한 친구들에 한해서 그렇게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서로의 관심사로 친해지기 때문에 불량한 친구가 아니라면 그냥 두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다양한 부류의 아이들을 만나서 경험하면서 성장을 하고 간접 경험을 하는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너무 많은 제재는 하지 않도록 하는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중간 중간 아이들이 친구들과는 어떻게 지내는지 확인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는 중요한 행동이지만 너무 티나게 간섭은 하지 않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좋아 하지 않을 간으성이 매우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부모가 결정을 하여 친구를 정해주는 것보다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생활을 하면서 여러 성향의 친구들을 만날 수 있지만 아이가 친구를 통해 불편함을 느끼거나 힘든 경험을 하였을 때 자신의 생각을 친구에게 표현할 수 있는 ,정확하게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는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가르쳐 주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요즘 세상이 무섭다 보니 부모로서 좋은 친구와 함께 놀기를 바라는
마음은 이해는 하지만 아이의 장래를 위해서는 잘 못된 행동 입니다
부모님은 아이보다 경험이 많다 보니 아이의 가치관은 무시하고
본인의 가치관만 옳다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다 다르듯이 아이들도 모두가 같은 행동을
하고 생각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친구의 경제 사정이 좋거나 친구 부모님의 직업이 좋거나 공부를 잘하거나 이런 것들의
기준으로 좋은 친구라고 생각 합니다
물런 생활 환경도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아직 어린나이에 아이들은 세상의
물정보다 마음을 나누는 친구가 더 필요 하다 생각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가 어울리는 친구들에 대해 바르고 좋은 친구들을 정해주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부모가 정해준 친구들이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정해준 친구들 모두가 자녀랑 잘 지낸다는 근거는 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친구를 만나고 사귀는 과정에서 아이스스로 다양한 친구들을 알아가면서 만나게 해주는 것이 좋다고 보며 이러한 과정들이 자녀의 사회적 기술이나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아이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건 좋지 않은 현상같습니다 부모님께서 자녀의 친구들이 어떤 성향이고 바른인성을 갖췄는지 알수있는 방법은 겉모습과 잠깐 스쳐가는 단편적인 인상으로 결정합니다 자녀가 스스로의 의지를 가지고 친구를 사귀는 것이 가장 좋은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인생은 아이들의 것입니다. 물론 아이가 올바르지 못한길로 접어들게 되는것을 예방 및 보호해주는것이 보호자로써 올바른것이지만그러한 특수한 상황을 제외한다면 친구를 부모들이 정해줄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