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습기에서 나오는 물은 왜 냉각되서 나오게 되는건지요?
제습기에서 흡수되어 나오는 물은 냉각되고, 차갑게 되어서 나오는데 어떠한 원리로 물의 온도가 변화되어서 나오는건가요?! 기계 자체에서 어떠한 변화를 거치게 되는건지요?
안녕하세요. 제습기에서 나오는 물이 차갑게 나오는 이유는 제습기의 작동 원리와 열역학적 과정에 의한 것인데요, 우선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낮추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됩니다.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실내 습한 공기를 팬으로 제습기 내부로 흡입하게 되면 공기가 냉각 코일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 코일 표면에 응결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데요, 이떄 응결된 물은 물통으로 배출되고 건조해진 공기는 코일을 지나면서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수증기는 온도에 따라 포화 수증기압이 달라지는데요, 공기를 냉각하면 포화 수증기압이 낮아지고, 현재 수증기압이 포화 수증기압을 초과하면서 응결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응결 과정에서 물방울은 코일 표면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되고 냉각된 상태로 모이는데요 즉, 제습기에서 나오는 물은 냉각 코일의 온도와 거의 동일하며, 그래서 차갑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제습기라는 기계의 원리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이러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판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기체상의 수증기를 액체상의 물방울로 응축시켜 제거하게 됩니다.
내부에는 냉각판을 차갑게 하기 위해 냉매가 들어있는데 이 냉매는 이슬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 해당 냉각판을 지나면 수증기 내부의 수분이 물방울로 응축이되는데 거의 0도에 가깝기에 차가운 물이 나오는 이유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제습기에서 나오는 물이 차갑게 느껴지는 건 단순히 물이 모였기 때문이 아니라, 냉각 과정을 거쳐 응결되기기 때문입니다.
제습기의 작동원리는 실내에서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하고, 제습기 내부의 냉각 코일을 통해 공기가 급격히 냉각됩니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됩니다.
냉각 코일 표면에 맺힌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져 물통에 모이게 됩니다. 이 물은 냉각된 상태에서 바로 떨어지기 때문에 차갑게 느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