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닭대가리라 놀리는데 닭이 진짜 바보입니까?

완전 닭대가리네? 라는 말로

사람을 비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근데 앵무새 같은 경우도

아이큐가 거의 70에 육박한다하고

비둘기들도

예상밖으로 사람도 기억하고

까마귀도 사람을 알아보고 등등

새들이 예상과는 달리

머리가 나쁘지 않은 종류가 많은데요

그럼 유독

닭만 대가리가 나쁜건가요?

그래서 닭대가리라는 비하를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억력이 좋지 못하고 어리석은 사람 혹은 머리가 나쁜 사람은 흔히 닭대가리라고 하는데요, 하지만 닭의 지능은 생각보다 높다고 하며 미국 에모리대의 로리 마리노 교수는 국제학술지 '동물 인지' 최신호에 닭의 자기 인식이나 추론 능력은
    사람으로 치면 일곱 살 아이에 맞먹는다고 했는데요 지능지수로 따지면 5~10 정도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닭대가리"는 몸에 비해 작은 머리 때문에 멍청하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실제로 닭은 그렇게 멍청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렇지 않습ㅌ니다.

    연구에 따르면 닭은 상당히 높은 지능을 가진 동물로, 추론 능력과 자기 인식 능력이 7살 어린아이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닭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자제하는 능력도 있으며, 복잡한 사회적 구조와 의사소통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닭은 24가지의 울음소리를 통해 서로 소통하며, 수탉은 포식자의 모습을 보여줄 때마다 다른 소리를 내어 암탉에게 경고를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닭이 생각보다 훨씬 지능적인 동물임을 보여주는 것이죠.

  • 실제로 닭은 지능이 매우 높은 동물입니다. 자기인지능력이 있으며 수와 양의 개념이 있고 두려움 기대 분노 등 복잡한 감정까지 느낄만큼 지능이 높습니다. 미국 모 대학의 연구결과에서는 7세 아이의 지능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혀진 바 있습니다. 

  • 닭대가리라는 비하적 표현은 닭이 단순하고 반응만 하는 동물로 오해되어 사용되는 비하적 발언입니다. 닭은 생각보다 사회적인 동물로 사회적 구조와 계급 질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리 내에 각자의 위치가 있고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닭은 간단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이기도 하는데, 음식을 얻기 위해 간단한 도구 사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물의 지능에 있어 문제 해결 능력이 있다는 것은 높은 지능에 속합니다.

  • 닭이 실제로 머리가 나쁜 동물이라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합니다. 닭대가리라는 표현은 닭의 지능이 낮다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앵무새, 비둘기, 까마귀 등 다른 새들도 높은 지능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닭대가리라는 표현은 닭에 대한 편견을 반영한 것으로, 다른 사람을 비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 국어사전의미도 기억력이 안좋고 어리석은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다소 조류의 특성상 지능과 기억력이 떨어지는데, 우리 생활에서 가장흔히 볼수있는 것이 닭입니다. 항상 인간이 생활하는 주변에 닭이 있었기에 닭이 행동하는 것들이 웃음을 자아낼정도로 어리석어보여 그런 단어가 생긴것이라고 보입니다.

    위험에 처한닭이 땅속에 머리만 처박고 있는 모습

    알을 가져가도 가져간지도 모르고, 또한 머리가 잘려도 곧잘 수분을 뛰어다니는 모습.

    앞에다 모래를 뿌려도 모이인줄 알고 집어먹는 모습들..

    이렇게 바보같아 보이는 닭이 우리가 오랜기간동안 사육하다보니, 공포를 담당하는 뇌의 뇌간부위가 축소되지 않았냐 하는 연구도 있었다고 합니다.

    사육당해서 먹히는 동물들도 나름... 진화되었다고 봐야할까요.

  •  실제로 닭은 다른 새들과 비교했을 때 지능이 낮다기보다는 다른 새들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지능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닭은 무리 생활을 선호하고, 복잡한 사회적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돌보는 등의 복잡한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닭이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닭대가리"라는 표현은 실제로 닭의 지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