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강화도 마니산에 있는 정수사 법당이 궁금해요

이번에 강화도 마니산에 산불이 나서 정수사 법당을 지켜야 한다는 기사가 많이 보이는데요

정수사 법당이 보물 161호로 지정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건물 앞면에 툇마루가 있는 특이한 법당 구조가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강화 정수사 법당 江華 淨水寺 法堂 보물 제 161호 강화 정수사는 신라 선덕여왕 8년(639) 회정선사가 지었다고 전하며 조선 시대 세종 8년(1426)에 함허대사가 다시 지었다. 본래는 정수사(精修寺)였으나 다시 지을 때 건물 서쪽에서 맑은 물이 솟아나는 것을 보고 이름을 정수사(淨水寺)로 고쳤다고 한다. 강화 정수사 법당은 석가모니불상을 모신 대웅보전이다. 1957년 보수 공사 때 발견한 숙종 15년(1689)에 수리하면서 적은 기록을 보면 세종 5년(1423)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규모는 앞면 세 칸, 옆면 네 칸이지만 원래는 툇마루가 없이 앞면과 옆면이 3칸 건물이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고, 지붕 처마 무게를 받치는 구조인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의 앞뒷면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앞면의 공포 장식이 다른데, 이는 앞면 툇마루가 후대에 다시 설치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앞면 중앙 출입문의 꽃 창살은 특이하게 통판에 조각되었으며, 꽃병에 연꽃과 모란이 담겨 있는 화려한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건물에서는 조선 전기적인 주심포양식을 전면공포보다 후면공포에서 볼 수 있습니다. 후면공포는 외일출목으로 기둥윗몸에서 끝이 사면으로 끊긴 헛첨차를 내고 소로를 놓아, 주두 위에 걸친 살미첨차와 외1출목의 소첨차를 받치고 있는데, 외일출목도리의 장여는 이 소첨차가 받치는 부분에서 운두를 높게 한 것이 특색입니다.

      비슷한곳이 1곳이 있지만 하나뿐인 정수사 법당이기도 하여 보물로 지정될만한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수사는 경상남도 거제시 마리항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사찰로, 이곳에 있는 법당은 대한민국 보물 제16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당은 조선시대에 지어졌으며, 전체적인 구조와 장식 등이 우아하고 섬세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서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특히, 법당 내부의 대웅전에는 아름다운 화풍과 명문이 그려진 14면체의 석조여래좌상이 있으며, 이는 고려시대의 명장인 김영갑과 김영남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수사 법당은 대한민국 도록 제3호(圖錄3號)로도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보호해야 할 중요한 문화재나 자연유산 등을 기록한 책으로, 정수사 법당의 역사와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는 증거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니산에 있는 정수사가 보물이 된 이유는

      조선초기의 건축 양식을 그대로 잘 보전되어 있어서

      학술적 같이가 높아서 보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수사는 경기도 양평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사찰 중 하나입니다. 이 사찰은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건물들이 재건축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정수사의 법당은 국보 161***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법당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유산적 가치가 높기 때문입니다. 정수사 법당은 조선시대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법당 내부에 있는 현묘(玄妙)상으로 알려진 대형 석조물은 조선시대의 불상조각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또한, 정수사 법당은 조선시대 불교미술의 발전과 성장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정수사 법당은 불교문화재, 역사문화재, 건축문화재, 조선시대 문화재와 같은 다양한 분류에서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는 그만큼 많은 가치를 지닌 문화재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수사 법당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