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호화로운꿀벌98
호화로운꿀벌9824.04.09

혈액을 체취하여 암진단 가능하다는데 정확한가요

혈액을 가지고 향후 암진단가능하다는데 이게 어떤가요

무슨원리로 진단이 가능하고정확도는 어떤지알고싶습니다 알려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을 통해서도 암검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정한 암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혈액을 통해서 백혈병이라 불리는 혈액암에 대한 진단은 정확하게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 외의 암에 대해서는 종양 표지자 라고 해서 암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특수한 물질을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통해서 특정한 함에 걸렸는지 유추는 가능합니다. 이러한 종양 표지자를 통해서 대략 몇종류의 암을 특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전문적인 검사에 들어가서 암 유무를 판단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써는 모든암을 진단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일부암은 진단이 가능하니 간단한검사를 받아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향후 암 진단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액체 생검 기술의 발전 덕분입니다. 액체 생검은 혈액, 소변 등 체액에서 암세포가 분비하는 DNA, RNA, 단백질 등을 분석하여 암을 진단하는 비침습적 검사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을 사용한 암 진단은 암세포가 발생하거나 성장할 때 방출하는 특정 단백질, 세포외 기질, 유전자 변이 등을 검출하여 암을 진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혈액 검사로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진단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암 진단을 위한 혈액 검사는 종양 마커(tumor marker)라 불리는 특정 단백질 혹은 유전자를 측정하여 이루어집니다. 종양 마커는 종양이나 암에 의해 생산되거나 방출되는 생물학적 표지자로, 암의 존재와 성장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종양 마커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암의 존재 및 발전 상황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암 진단을 위한 혈액 검사의 정확도는 사용되는 마커와 검사 방법에 따라 다르며, 특히 조기 진단의 경우 암의 종류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검사 결과를 평가하는 데는 의료 전문가의 판단과 추가적인 진단 검사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액을 이용한 암 진단 기술은 암세포가 방출하는 특정 단백질, 유전자 또는 기타 마커를 검출하여 암을 진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의 존재, 종류, 위치, 크기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를 통한 암 진단 기술은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반복 검사가 가능하므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도는 검출 가능한 마커와 기술에 따라 다르며, 현재까지 완벽한 정확도를 보장하는 기술은 아직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양표지자란는 암 발생시 혈액 내에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특수한 표지자들로, 암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지만 아직은 정확도가 높지 못합니다. 특정 암이 존재하더라도 종양표지자를 많이 생산하지 않아 결과가 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종양표지자로 모든 암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암이 아닌 양성 질환에서도 증가될 수 있고 병적이 아닌 단순 증가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양표지자만으로 특정 질환의 유무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없으므로 의사의 소견을 반드시 참고하셔야 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건강검증센터 - 혈액검사로 암을 확인할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특정 암세포에만 해당하고, 주로 혈액암이나 조직에서 떨어져나오는 CTC 종류들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는 일반세포에비해 세포막이 단단하고 세포의 전기기계적 성질이 달라 이를통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또는 체내 암세포 증가에따른 여러 신호물질을 검출하여 암세포 존재 유무를 파악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