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듬직한허스키176
듬직한허스키176

목 옆에 동글동글한것이 3개월 째 잡힙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03


사진으로 동그라미 친곳에 동그란 덩어리 같은것이 잡힙니다 3개월째요 크기는 커지지는 않는거같고요 만지면 잘움직입니다 뭘까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만져지는 덩이는 림프절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크기변화가 없어서 걱정스럽지는 않으나 진찰을 받고자 하신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가장 흔한 목 멍울의 원인 중 하나는 림프절(임파선) 비대나 림프절염입니다. 림프절 외에도 침샘 종양, 갑상선 결절, 선천성 종물 등 다양한 종류의 멍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종류의 멍울 중에는 암이 원인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목 멍울을 발견했을 때 나이와 동반되는 증상을 고려하여 구별해야 합니다.

    나이는 목 멍울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40세 미만의 경우, 멍울이 염증과 관련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40세 이상에서 목 멍울을 발견하면 종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동반되는 증상도 고려해야 합니다. 통증이 동반되는 목 멍울은 대개 염증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대 여성이 목덜미에 목 멍울을 만져보고 통증을 느끼면, 림프절염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사는 항생제나 소염진통제 처방 후 반응을 관찰할 것입니다.

    몇 개월 동안 작아지지 않고 약간씩 커지는 경우 종양의 가능성이 을 염두해봐야 합니다. 수년 동안 큰 변화 없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선천성 멍울일 가능성이 큽니다.

    목 멍울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의 조언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초음파 검사는 목 멍울을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세침검사(세포검사)를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두경부암이 의심된다면 인후두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CT 촬영은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