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소탈한악어2
소탈한악어2

형광현미경이 광학현미경임에도 불구하고 자외선을 사용하나요>?

찾아보니 형광현미경은 자외선을 사용한다하는데

광학현미경의 하위분류인 형광현미경이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형광현상의 특징 때문입니다.

    형광 현상은 특정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이며, 이때 흡수되는 빛의 파장은 방출되는 빛의 파장보다 짧습니다.

    즉, 형광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외선과 같은 짧은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흡수된 에너지는 가시광선 같은 긴 파장의 빛으로 방출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형광 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기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짧은 파장의 빛이 필요합니다.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아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형광 물질을 여기시키기에 적합하죠.

    또한 형광 물질에서 나오는 빛을 명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배경광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자외선을 사용하여 형광 물질을 여기시키면, 방출되는 가시광선만 관찰할 수 있어 배경광의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은 빛을 사용할수록 현미경의 해상도가 높아지는데,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아 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형광현미경에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형광 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기시키고 배경광을 줄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형광현미경은 특정 물질의 형광 특성을 활용하기 때문에 자외선을 포함한 단파장 광원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광학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직접 이미지를 형성하지만, 형광현미경은 샘플이 특정 파장의 빛(자외선, 청색광 등)을 흡수한 후 더 긴 파장의 형광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자외선이나 청색광은 에너지가 높아 형광 색소(예: GFP, DAPI 등)를 효과적으로 여기(Excitation)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방출된 형광은 필터를 통해 원하는 신호만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형광현미경은 보다 세밀한 세포 구조나 특정 단백질을 표지하는 데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