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말나온3500억 투자, 현실성있는 말인가요 블러핑 인가요?
질문그대로, 우리기업이반도체 기술을 훌렁 던져줄일은 없고.
조선,차량 사업은 미국에서 사람들이 비싸서 타 국가에 맡기는 사업아닌가요? 이걸로 미국이 이득을 본다구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오늘 타결된 관세 협상의 3,500억 달러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 중에서 1,500억 달러는 조선업에 사용될 것이고
나머지 2,000억 달러도 대부분 보증 아니면 대출이라고 하니
어느 정도 블러핑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3500억 달러라는 수치는 우리나라 연간 gdp의 1.5배 가까운 수준인데, 현실적으로 단일 산업 분야에서 그렇게까지 대규모로 해외에 투자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특히 조선이나 자동차 같은 분야는 말 그대로 오래된 주력 산업이긴 하지만, 미국 입장에서는 제조 기반 회복 차원에서 한국 기술을 끌어들이려는 의도가 있어 보이고, 우리 입장에서는 미국 시장 확보용으로 상징적 협력을 내세운 셈일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이 금액 전부가 즉각 투자되는 건 아니고, 공동펀드나 장기계획 형태로 발표된 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말해 협력 프레임워크 차원에서 외교적 메시지를 강하게 던진 거고, 구체적 집행은 단계별로 조정될 거라 보는 게 맞습니다. 반도체 기술 이전 문제도 마찬가지로, 우리 기업이 통제권 없이 넘기는 구조는 현실적으로 어렵고, 오히려 미국이 인센티브 주고 공장만 끌어오려는 계산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협상 카드이자 투자유치 전략 성격이 강해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 SK, 등 대기업의 미국 투자 발표는 종종 상징적 요소와 전략적 메세지가 섞여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조선, 자동차 분야는 현지 수요와 정치적 배경 고려한 정치적 블러핑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