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알뜰한박새245
알뜰한박새245

코끼리 코? 같은 행동이나 빠르게 회전을 하면 왜 어지럽나요?

나이
22
성별
남성

게임 같은 걸로 코끼리 코를 해서 주위를 빨리 도는 걸 할 때나 느린 속도로 똑같은 방향으로 계속 계속 돌다보면 어지러운데 그 어지러움은 모든 사람한테 발생하고, 왜 발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귀속에는 림프액이 있습니다. 회전할 때 같이 움직이게 되는데 몸이 멈추더라도 관성에 의해서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어지럼과 불균형 증상이 생기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빙글빙글 돌면 어지러운 건 정상이에요. 이건 전정기관이라는 내이의 평형 감각 기관 때문이에요. 돌 때 전정기관 안의 림프액이 움직이면서 뇌에 회전 신호를 보내요. 근데 갑자기 멈추면 림프액은 계속 움직여서 뇌가 혼란스러워 하는 거죠. 이런 반응은 모든 사람한테 일어나요. 다만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어요. 어릴 때보다 나이 들수록 더 심해지기도 해요. 괜찮아질 때까지 잠깐 쉬어주는 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리가 회전감각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반고리관이 3개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방향이던 회전 감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관안에 림프액이 들어있고 이 액체가 이동하는걸 느끼는것인데 계속 돌다보면 회전감각이 너무 심해져서 어지러움을 느끼고 림프액의 순환이 멈출때까지 어지러움이 지속되는걸 느끼실 수 있겠습니다.

    회전감각이 너무 심하면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우리 몸은 평형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전정기관과 시각 정보를 활용합니다. 코끼리 코를 하고 제자리에서 돌면 몸이 회전하면서 전정기관도 함께 회전합니다. 전정기관 내 림프액도 관성에 의해 계속 회전하는데, 몸은 멈추더라도 림프액은 바로 멈추지 않아 뇌는 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동시에 시각 정보도 왜곡됩니다. 코끼리를 코를 하고 돌면 눈은 천장을 보게 되는데, 이 때 뇌는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몸이 뒤로 넘어가고 있다고 인식합니다. 이러한 혼란이 합쳐져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귀에 반고리관, 전정기관이 있습니다.

    회전으로 인해서 생기는 관성으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사람의 귀에는 내이라는 공간이 있는데, 이곳에 회전감각을 느끼는 반고리관이 있습니다. 반고리관은 말 그대로 고리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몸이 회전하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회전을 느끼는 방식은 고리관 내의 액체가 몸의 회전과 함께 빙빙 돌면서 내부의 감각기관을 건들면, 그 때 신호가 발생하여 뇌에서는 어지럼증을 감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회전 시 우리는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회전을 하게 되면, 시각적인 정보와 몸의 감각이 일치하지 않아 뇌가 혼란이 오며, 어지러움 이 유발이 됩니다. 또한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자극을 받아 어지럽게 됩니다.

    어지러움은 대부분 발생하나, 개인에 따라 어지러움의 정도의 차이는 발생할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