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누리함
누리함23.04.26

민속극의 개념과 기원, 배경, 특징 및 유형 등이 궁금합니다.

민속극의 개념과 기원, 배경, 특징 및 유형 등이 궁금합니다.

황해도 봉산탈춤, 양주 별산대 놀이, 통영 오광대 등이 유명했네요.

양반에 대한 풍자와 서민들의 생활상이 진솔하게 나타나 있는 소중한 유산이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는 가면극, 꼭두각시놀음, 무극, 발탈, 진도 다시래기, 우희, 만석중놀이, 영등희 등 다양한 민속극이 있었다. 이 민속극들은 대부분 사회 풍자의 희극으로서, 사회적 불평등 때문에 빚어지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제시했다. 민중은 민속극을 통해 일시적으로 기존 질서로부터 벗어나 해방을 구가했다. 일상 세계에서라면 마땅히 금기시되던 문제들을 놀이판에 드러내어 다룸으로써, 평소 억압되었던 갈등과 불만을 발산하고 해소하는 기회로 삼았다.

    민속극은 민족 문화를 말살하고자 한 일제강점기와 민족 분단의 혼란기를 거치면서 전승이 위축되었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이르러 가면극을 중심으로 한 민속극 전반이 새로운 조명을 받기에 이른다. 당시 정부는 근대화 또는 서양화 추진과 민족 주체성 확립이라는 과제를 추구하면서 유형문화재를 보존•복원하고 무형문화재를 지정하는 사업을 펼쳤다.

    한편, 대학생을 비롯한 비판적 지식인들은 전통 가면극의 가치를 재발견해 민주주의적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래서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대학가에서 탈춤 부흥 운동이 크게 일어나 전국의 대학생들이 가면극을 배워 공연하는 일이 자주 있었고 그 열의도 대단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그것도 시들해지고 말았다. 그 대신에 민속극에 기반을 둔 창작극인 마당극(마당굿) 또는 민족극이라 불리는 일단의 정치극이 새롭게 등장해 체제 비판을 시도했다. 1980년대 초두에 이르러 기존 문화 풍토에 하나의 문화적 충격으로 던져진 마당극은 민속극의 이념적 혁신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처음에는 마당극 또는 마당굿이라 부르다가 점차 민족극이라는 용어로 통일되었고, 1988년 12월 ‘전국민족극운동협의회’가 결성되었다. 마당극은 민족 문제, 농촌 문제, 노동자 및 도시 빈민 문제, 사회 일반 및 시사 문제, 역사적 사실의 재해석 문제를 다루었다. 이는 당대 사회 운동의 흐름과 긴밀히 결합해 들어가는 민족극 운동의 작품 활동 경향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문적인 연극 단체 가운데서도 가면극•판소리인형극 등 민속극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창작극을 정립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1973년에 연출가 허규를 중심으로 창단한 ‘극단 민예’와 손진책의 ‘극단 미추’이다. 극단 민예는 <허생전>•<놀부전>•<서울말뚝이>•<다시라기> 등을 공연했다. <허생전>은 가면극의 장단•춤사위•등퇴장 동작과 판소리의 아니리를 활용했다. <놀부전>은 창극인데, 등퇴장과 몸동작에 가면극의 춤사위를 활용했다. <서울말뚝이>는 현대판 가면극이고, <다시라기>는 민속놀이였다.

    이와 같이, 민속극은 새로운 한국적 현대 연극의 창출을 위한 창작 자원으로서의 의의도 지니고 있다. 현재 연극계에서는 민속극을 활용한 한국적 현대 연극을 창작하여 공연하는 연극 단체들이 여러 개 생겨났고, 이들 중 일부는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국립창극단의 창극, 극단 목화(오태석)•연희단 거리패(이윤택)•민족예술단 우금치(류기형)•극단 민들레(송인현)의 연극, 극단 민예(손진책)의 마당놀이, 한국민족극운동협회 산하 단체들의 민족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예술적 완성도를 위해 아직 갈 길이 먼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전통연희를 창작 자원으로 활용하여 좀 더 수준 높고 재미있는 한국적 현대 연극을 창출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민속극 [民俗剧] (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