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코스닥 시가총액 200조증발이란 뉴스가 나오던데요?이돈은 누가 이득을 취하나요?개인은 손해보는건 알겠는데 누군가가 이득을 취하는데가 있지않을까 하고 묻습니다,답변바랍
주식에 대해 잘몰라 질문합니다.코스피 코스닥 200조 증발 이란기사가 나오던데 이돈이 손실나면 무군가가 이득을 취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200조 증발된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누군가 이득을 취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공매도 포지션을 취하는 경우, 선물에 있어서 숏 포지션을 취하는 경우라면 하락 시에 수익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증발할 경우 이득을 보는 곳은 인버스를 매수한 주체나 공매도에 투자한 사람들만 이득을 볼 것입니다
또한 주식의 특성상 증발한 돈의 100%를 누군가 이득으로 취하긴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전체 주식의 수를 100개라고 가정했을 때 평균단가가 10,000원이면 1,000,000원이고 여기서
1,000원이 하락하면 100,000원이 증발하게 되지만 실제로는 누군가 9,000원으로 한 주를 매도했을 뿐입니다
따라서 이 증발 금액이 100% 누군가의 주머니로 들어갔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 코스닥에서 시가 총액 200조가 증발했다는데 그럼 이돈을 취한 사람은 누구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증발되는 돈은 하락에 배팅한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시가 총액이 변동하는 것은 기업의 주가 변동에 따른 것으로, 이는 투자자들의 매수와 매도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매수자가 많으면 주가가 상승하고, 시가 총액이 증가합니다.
매도자가 많으면 주가가 하락하고, 시가 총액이 감소합니다.
주식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움직이며, 누군가가 이득을 취하면 다른 누군가는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자산을 매매하는건 누군가는 손실을 보지만 누군가 이익을 보는구조입니다 이런것을 흔히 제로섬 게임이라고 합니다 (물론 주식은 배당이라는 별도이익은 있습니다)
즉 과거의 낮은 가격에 어제 매도를 이끈게 주체가 기관나 일부 개인 외국 헤지펀드는 차익(이익실현)매물이 나왔을것입니다 또한 일부는 손실난 상태에서 손절난 매물이 대량도 나왔을것입니다
또 이외는 별개로 파생상품에서 옵션이나 선물의 숏포지션을 취하여 현물에서 손실난것을 선물이나 옵션 파생상품에서 떨어지는 포지션에 이익을 취하는 숏포지션에서 이득을 보았을것입니다
이외 국내지수는 기관이나 주요 헤지펀드사를 취하는 선물과 현물을 동시에 매매하는 프로그램차익거래로 (초단기매매) 고평가된 한쪽은 팔고 저평가된 쪽을 사는 이런 단기 프로그램매매 차익거래가 활발하게 발생하며 이득을 취하는 구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시가총액이 증발한다는 것은 마치 커다란 호수의 물이 줄어드는 것과 같습니다. 호수의 물이 줄어들면 호수 전체의 가치가 떨어지듯이, 시가총액이 줄어들면 주식 시장 전체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의 실적이 나빠지거나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려고 합니다. 이때 주식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주식 가격이 떨어지고, 이는 곧 시가총액 감소로 이어집니다.
시가총액이 증발하면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큰 손해를 입게 됩니다. 마치 호수의 물이 줄어들면서 물고기들이 살 곳을 잃는 것처럼, 주식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자들의 자산 가치도 함께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득을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미리 주식을 빌려 판 후,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사서 갚는 공매도 투자자들은 시가총액 증발 시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시장 침체기에 저렴해진 주식을 매수하여 향후 주가 상승 시 이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이 증발했다는 말은 개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본인들의 돈을 회수했다는 의미인데,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금이 빠진 것이지 손실이나 이득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는 없습니다.
개개인이 투자금 대비 손실, 이득을 볼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증시에서만 돈이 빠져나온 것이지 총합이 사라진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이 200조 원 증발했다는 것은 주식 가격이 크게 하락해 전체 시장 가치가 줄어들었다는 뜻입니다. 이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이 돈이 어디로 간 것은 아닙니다. 주식 시장에서 가격 하락은 단순히 가상의 가치가 줄어든 것이고 실제로 누군가가 그 돈을 직접적으로 이득 보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일부 투자자들이 주식을 높은 가격에 팔고 다시 낮은 가격에 사들여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