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경안한 25세 남자 이거 곤지름인가요?
어느 순간부터 저렇게 생긴게 귀두 표피에 자리 잡아져있는데 혹시 곤지름 증상인가요? 맞다면 하루라도 빨리 근처 비뇨기과에 가서 치료 받을려구요 치료 받은 후 가다실9 맞으면 예방적 차원에 도움이 될까요?
아무런 증상(통증 간지러움) 도 없어서 잘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
귀두 표피에 돌기처럼 만져지는 병변이 나타난 경우, 곤지름(성기 사마귀) 외에도 피지낭종 등 다양한 양성 병변일 수 있습니다. 곤지름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피부색 또는 분홍색의 작고 뾰족한 돌기 형태로 여러 개가 군집하여 생기고, 시간이 지나면서 크기나 개수가 늘어날 수 있어요. 반면 진주양 구진은 대개 귀두 둘레에 대칭적으로 나며, 작고 진주처럼 반짝이는 모양이며, 감염성은 없습니다. 육안 진찰이 기본이지만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나 HPV 유전자 검사로 확진하구요
곤지름으로 진단되면 냉동치료, 전기소작술, 레이저 치료 또는 약물(예: 포도필로톡신, 이미퀴모드 크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병변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집니다. 치료 이후에도 HPV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어 재발 가능성이 있죠
이 때문에 치료 이후라도 HPV 예방 백신인 가다실9을 접종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가다실9은 HPV의 고위험 유형(16, 18형 등)과 곤지름을 일으키는 6, 11형을 포함해 총 9가지 유형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어 재감염 및 다른 부위 감염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죠
진단을 위해 비뇨기과에 내원하면 의사는 육안적으로 병변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3~5% 아세트산을 바른 뒤 희게 변하는 반응을 통해 곤지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 생검(조직 검사)을 시행해 병리학적으로 감별하게 되구요
단일 병변이라도 곤지름일 가능성이 있으며, 전염성과 재발 가능성을 고려해 빠른 진료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병변이 있던 자리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 성 접촉 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감염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