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하늘이 파란색을 띠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현상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만, 그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태양빛이 대기 중의 분자와 입자에 의해 산란되면서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또한, 이 현상이 일어나는 원리와 관련된 물리학적 개념들을 포함하여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조훈 전문가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은 레일리 산란이라는 방식으로 인하여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태양빛은 여러 가지 색의 빛으로 이루어진 백색광이며 이 빛은 여러 파장의 빛이 섞여 있으며, 각각의 파장은 다른 색을 나타냅니다. 빨간색 빛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고, 파란색 빛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게 되지용~ 레이리 산란은 빛이 공기 중의 분자와 충돌할 때 발생하게 되며 이 산란의 정도는 빛의 파장에 반비례합니다. 즉, 파장이 짧을수록 더 강하게 산란된다는 의미이지요~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빛은 대기 중에서 산란이 비교적 적게 일어나며, 거의 직선으로 통과합니다. 반면,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 빛은 대기 중의 분자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태양빛이 대기 중으로 들어올 때, 파란색과 보라색 빛이 강하게 산란되지만, 인간의 눈은 보라색보다는 파란색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 때문에 하늘은 주로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보라색 빛은 대기 중에서 더욱 짧은 파장으로 산란되기 때문에 여러 방향으로 흩어져 눈에 덜 도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파란색이 지배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일몰과 일출 시, 태양빛은 더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파란색 빛은 산란되어 대기 중에 퍼지고,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 빛이 더 많이 남아 지표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해가 질 때와 뜰 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