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내륙철도와 연계한 복ㅎㅂ운송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해상, 항공 중심의 물류에서 벗어나 내륙철도와 연계한 복합운송 체계는 리드타임 단축과 물류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민간 활용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일반적인 무역상이 사용하기 어렵기에 선사나 포워더들의 적극적인 활용 및 영업활동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만약에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거나 활성화하기 위하여는 선사나 포워더들에게 이러한 방향에 대하여 알려주고 추가적으로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어야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보다 정확한 내용은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길 바라며,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내륙철도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철도 CY 확충, 장치장 연계 도로망 개선, 철도 전용선 구축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철도운임 할인과 같은 인센티브도 검토중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를 활용해서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내륙철도와 연계한 복합운송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일단 비용이나 시간적인 부분에서의 효율성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연계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있지 않으면 민간차원에서만 활용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고, 예를 들어 국내 항만과 철도 연계시스템을 개선하는 등의 민관 합동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물류 흐름이 항만이나 공항에 너무 쏠려 있으면 내륙 연결이 늘 병목입니다. 철도는 이 틈을 메울 수 있는 수단인데 아직까지는 트럭 위주의 내륙 운송 구조가 굳어져 있습니다. 철도와 해상 운송을 묶는 연계 노선 확보가 시급합니다. 이를 위해 복합화물터미널을 주요 거점에 배치하고 세관 절차도 그 터미널에서 바로 처리할 수 있게 만드는 게 효과적입니다. 정책적으로는 철도운송에 대한 통행료 감면이라든가 노선별 우선 배차 같은 인센티브가 필요합니다. 민간에서는 대형 화주나 물류기업들이 자체 플랫폼 안에 철도 스케줄을 끌어넣는 방식으로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철도 전용 컨테이너 확대나 운송 예약 시스템과의 연계도 병행돼야 의미가 있습니다. 단순히 수송 수단을 하나 더하는 게 아니라 흐름을 바꾼다는 관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