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온 후에 추워지는 이유가무엇인가요?
항상 비가오고나면 기온이 뚝떨어지고많이 추워지던데요
왜비가오고나면 항상 추워지는것인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비가 공기를 차갑게 만드는데 대기의 열을 흡수하며 증발하기 때문이지요. 빗방울이 형성되려면 공기 중 수증기가 응결하여 액체가 되는 과정을 거쳐야하지만 빗방울이 떨어지는 동안 일부가 다시 증발하게 되고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하는것이지요. 비가 많이 내릴수록 증발하는 양도 많아지고 공기가 더 차가워지게 되면서 비가 내릴때와 직후에 주변 공기가 차가워지는 것입니다! 구름이 사라지면서 지면의 복사냉각이 빨라지기도 하는데 비가 그친 후에는 구름이 걷히는 경우가 많고 구름이 있는 동안 지구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이 구름에 반사되어 지표면의 온도를 유지시켜주게 됩니다. 비가 그친 후 구름이 걷히면 지면이 방출하는 열이 그대로 우주로 빠져나가면서 빠르게 냉각되고 야간에 비가 그치면서 더욱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경우가 많게 됩니다. 비가 대기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찬 공기를 불러오기도하지요. 비가 오는 동안은 저기압이 형성되는데 주변 공기가 상승하며 따뜼한 고기를 유지하지만 비가 그친이후엔 기압이 상승하면서 차가운 공기가 내려오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지요! 대기중에서 비를 형성하는 구름은 차가운 공기를 보토 포함하는 적란운이나 한랭전선이기에 한랭전선이 지나갈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비가 내린 후 급각하게 기온 하강을 유발하게 되고 찬 공기가 지표면까지 내려오면서 온도를 급격히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여름에는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기에 비가 오고도 따뜻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