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모델을 단순화 한다고 도시 주거 패턴이라던가. 이런 복잡한 패턴을 얼마나 잘 설명할 수 있을지요

대학가 주변 아파트 시장이 있다 칩시다.

그런데 이거를 단순히 내부 링 그리고 외부링으로 구분하는게 충분할까 싶네요

실제로는 뭐 예를들어서

대중교통 노선이나

상권이 또 얼마나 발달했는지

편의시설은 어떤지

단과대학들간의 거리는 어떠한지

이런것들도 주요변수가 될수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듭니다

게다가 모든학생들이 단순 거리를 기준으로 삼아

선호도를 결정을 한다 이렇게 가정하는거도 비현실적으로 보이고요

그리고 여기서 외부 링 아파트가격을 외생변수로 처리한다는 것인데

실제론 내부링 아파트 가격변동이

외부링 아파트 수요랑 가격에도 영향을 줄 것인데

이러한점을 모델에서 뺀다는것은 타당할까요?

물론 이런거까지 고려한다면 모델이 너무 복잡해진다는건 이해합니다만..

암튼 이 모델에서 궁금한 점이

실제로는 어떠한 매커니즘이 효율적으로 자원배분을 이끌어낼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시장가격에 맡기는게 최선인지

아니면 규제나 정책적으로 개입이 필요한것인지

예를들자면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해 기숙사 제공하는것

임대료 보조정책 펼치는것이 되겠군요

통찰력을 듣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창효 공인중개사
    유창효 공인중개사
    대한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요점을 잘 파악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일단 질문에서 말하는 부분은 이론적인 부분으로 실제 시장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고, 목적물 자체의 접근성에도 영향을 받지만 주변 환경입지에 따라서도 수요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결국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결합하여 최종 확정된 것이 시세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각 부동산 이론상의 거리중심이론이나 상권중심이론처럼 하나의 비중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이론들은 현시대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원배분에 대한 문제는 곧 부동산 가격안정화에 대한 문제이고, 부동산 특성상 정보의 비대칭성, 비생산성, 개별성특징이 있기에 때문에 정부에서도 시장에 개입하는 근거가 될수 있습니다. 다만 개입의 목적대로 시장이 움직여주지 않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최소한의 범위내로 시장접근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질문처럼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안정 정책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접근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시장 원리만으로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접근성이 낮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기숙사 공급 +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 임대료 보조 등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내부 링과 외부 링의 가격은 상호작용하므로 이를 반영한 모델이 적절 합니다.
    거주 환경의 질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접근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판단됩니다.